검색 상세

놀이 관점에서 보는 한국축제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Korea Festival Revitalization From A Perspective Of Play

초록/요약

1990년 중후반 이후 폭발적으로 확장한 우리나라 축제 산업은 한 해에만 1,000여 개의 축제가 진행될 정도로 현대의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이 되었다. 그로 인해 현재 축제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대부분 축제의 가치와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할 뿐 축제의 본질을 다뤄 축제의 지속성을 강화하려는 실질적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축제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한국 축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찾고자 축제의 본질인 ‘놀이’ 탐구에 중점을 두었다. 놀이를 축제의 본질로 본 이유는 놀이와 축제는 일상과는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진행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놀이가 재밌어야 사람들의 만족도가 향상되고 축제의 흥행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놀이는 인간의 유희적 본능 표현이자 삶의 가치를 높이고 사회적으로 공동체 단합과 자긍심 향상 등의 긍정적 기능을 수행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 수행은 우선 축제와 놀이에 대한 정확한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고 퍼포먼스 관점의 ‘전이 체험’ 이론을 적용해 놀이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놀이 분석은 3단계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축제가 일상과 다른 특별한 제2의 세계로서 가진 특성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만드는 고유한 놀이를 분석하여 결론적으로 어떤 전이 체험 결과를 만드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축제 사례는 2019년 글로벌 문화 육성축제이자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축제로 도약하고 있는 ‘보령머드축제’와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표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보령머드 축제는 방문객들이 경쟁 성격을 갖고 있는 놀이를 통해 일상과는 다른 경쟁적 긴장감과 일탈을 체험하고 나아가 천진난만한 본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 비일상적인 공간이었다. 나아가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은 누구나 갖고 있지만 숨겨진 무의식의 자아를 노래와 춤으로 표출하는 혼란과 전율적 놀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상처를 치유하고 동시에 관계 회복을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진정한 축제란 지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일상의 고통을 해소할 수 있는 독특한 체험 놀이를 하고 있음과 동시에 놀이를 통해 사람들의 변화를 끌어내는 고유한 제2의 세계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러한 놀이 축제의 역할이 잘 수행될 때만이 축제가 추구하는 지속성과 정체성을 가지며 글로벌 축제로 도약할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 본 연구는 축제가 가져야 할 본질적 가치 확인을 목표로 ‘놀이 체험’에 중점을 두고 사례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복합성을 띠고 있는 놀이를 단일 성격으로 규정하거나 일반화시키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 즉 이는 ‘어떤 놀이를 하는가?’의 의문이 아닌 놀이가 어떻게 축제에 표현되고 사람들이 그것을 통해 얻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함이었던 본 연구 목적을 훼손하지 않기 위함이다.

more

초록/요약

Korea’s festival industry has experienced an explosive expansion since the 1990s. It has become the core of the modern ‘high value industry’ with approximately 1,000 festivals held in a year. As a result of this boom, more research on festivals are conducted. Most of the current research is studying the value and economics of festivals. However, additional practical studies can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of festivals by dealing with the innate insufficient nature of these even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nature of ‘play’ which is essential for the festivals to enhance their own identities and to find different tactics for promoting festivals in Korean. We define ‘play’ as the interaction for enjoyment in a certain subject. ‘Play’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festivals because both have similarities in how they affect people from their daily lives. Also having fun at festivals while playing improves people’s satisfac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festival is a success. In other words, ‘play’ in festivals can explain the expression of the playful instinct of human beings. Play also enhances the value of life and can potentially benefit positive social functions such as increasing community, unity, and self-esteem. Firstly, this study consists of constructing the accurate theoretical background of ‘play’ and festivals. We can analyze ‘play’ by applying ‘the transition experience’ theory of performance point of view. Play analysis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as a separate reality from daily life. Second, the unique type of playing at festivals have to be determined.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a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kind of experiences are held by the festival goers throughout the process. Two specific festivals that we can examine today are the Boryeong Mud festival, and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These were chosen because they hold a long reputation as successful festivals. Also, in 2019 both festivals were selected from the “Global Cultural Fostering Festivals” which aids to booster festivals into the global festival market. For example, the Boryeong Mud Festival is a typical place to help visitors experience competitive tensions and deviations from their daily lives. This festival also restores instincts through competitive play. The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was celebrated as a space that heals wounds and creates positive value to relationship recovery. They accomplish this through the chaotic and thrilling ‘play’ that expresses the unconscious self, with song and dance. In conclusion, a true festival must have unique ‘play’ experiences that can aid with daily pain. These festivals also can act as a unique second world that leads people’s perspectives to change through play. And when a playful festival is executed well, it will have the persistence and identity that the festival creates. This in turn will aid the festival to gain enough momentum to leap into the global festival market. However, since this study analyzed ‘play experience’ with the aim of compartmentalizing the values that festivals should have, it should refrain from defining or generalizing ‘play’ as a single trait or defini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a question of ‘What kind of play?’ But what should be highlighted from this study is how ‘play’ is expressed in the festival and the experiences people get from i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