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남성 요가 수련자의 몰입 경험에 대한 연구

Flow Experiences Among Veteran Male Yoga Practition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남성 요가 수련자들이 요가를 수련하게 된 동기와 수련의 특징을 바탕으로 몰입 경험을 하는 특징과 의미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요가가 여성의 운동이라는 인식을 재고하고, 남성 요가 수련자의 몰입 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연구 참여자의 몰입 경험을 통해 요가와 몰입의 관계성과 요가와 몰입 경험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5년 이상 꾸준히 요가수련을 하며 요가의 몰입경험이 충분히 인정되는 남성 요가 수련자 5인을 선정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심층면담과 관련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약 90분 동안의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적 방법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심층면담의 전사 자료를 통해 총 236개의 개념어를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1차 범주화 과정을 통해 총 11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또한, 2차 범주화 과정을 통해 6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둘째, 남성 요가 수련자들의 몰입 경험을 근거이론의 6가지 패러다임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요가 수련자들은 요가수련을 우연히 접하게 되었거나 건강 상의 이유나 지도자가 되기 위해 시작하게 되었다. 그들은 꾸준한 요가 수련을 통해 몰입을 경험하게 되었다. 몰입 경험을 통해 육적·심리적·영적 경험을 하며 자신만의 몰입 조건을 형성하게 되었다. 또한, 몰입을 방해하거나 촉진하는 요인들 또한 자신만의 전략을 갖추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각자의 노력을 통해 결과적으로 희망, 행복, 그리고 자아실현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와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남성 요가의 몰입 경험에 대해 연구해보았지만, 여전히 남성 요가의 연구가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남성 요가의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몰입 경험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질적 연구 기법이 필요하며, 현상학적 연구와 내러티브 연구 등 다양한 형태의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henomenon and its meanings in the state of flow experience among veteran male yoga practitioners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actors in their yoga practice. It aims to reconsider the general misconception where yoga method belongs to female population and also appreciate their state of flow experience among male yoga practitioners. Based on this analysis of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and its influences, close relation between yoga and flow state was found. Five male yoga practitioners who have practiced yoga for more than five years and have experienced state of flow were selected for this qualitative research. Ninety minute long semi-structured interviews in–depth combined with other literature were gathered for its data. Systematic analysis in the frame of the grounded theory has accomplished following results. Two hundred and thirty six concepts were drawn through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s in-depth. The categorization grouped eleven subcategories and another six categories. Additionally, flow experiences among yoga veteran male practitioners were applied in the six paradigms in the system of the grounded theory.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started their yoga journey by chance, because of their health issues or to become a teacher. Consistent practice has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experience flow. Conditions for engaging in flow were developed through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also spiritual experiences.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a factor of interruption or accelerator were handled with their own proficient action strategies. Self-realization, happiness and hope were some of the consequences achieved through their practice. Consistent succeeding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since research on flow experiences among male yoga practitioners were clearly insufficient in advanced studies. Clear and specific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essential to grasp the concept of flow. It is also necessary to explore with various types of follow up studies including phenomenological and narrativ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