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兩班 남성家長의 유교적 삶과 그 이면 : 『默齋日記』와 『眉巖日記』를 중심으로
The Daily Lives of Yi Mun’geon and Yu Heechun: How Yangban Men Experienced Confucianization in Sixteenth-Century Chosŏn Korea
- 주제(키워드) 조선시대 , 16세기 , 양반 남성 , 유교화 , 이중성 , 일상 , 家長 , 李文楗 , 柳希春 , The Chosŏn Dynasty , 16th Century , Yangban Men , Confucianization , Duplicity , Head of Household , Daily Life , Yi Mun'geon , Yu Heechu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계승범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UCI I804:11029-00000006487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조선시대 양반 남성은 公人으로서 성리학적 가치에 따라 조선의 사회질서와 사회구성원의 삶을 바꾸고, 私人으로서는 새로운 행동양식을 충실히 따라야 했다. 그렇다면 양반 남성은 자신이 관료로서 주장한 바와 같이 일상에서 유교적 예법을 따르고 佛敎와 巫俗을 멀리했을까? 본 논문은 李文楗(1494-1567)의 『默齋日記』와 柳希春(1513-1577)의 『眉巖日記』를 분석한 결과, 16세기 兩班 두 남성 家長의 일상은 양반 관료로서 주장한 것과는 달리 유교적 사회질서에 맞지 않는 이중적 일상을 살았음을 주장한다. 16세기가 유교화의 과도기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모습은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상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남성의 언행을 직접 다루지 않거나 유교적 예법의 수행과 排佛 중 하나만 기준으로 삼아 남성의 유교화를 논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기를 주사료로 활용하여 이문건과 유희춘의 언행을 기반으로 그들 일상의 유교화를 가늠했다. 또한, 유교적 예법 준수, 불교와 무속 거부 둘 모두를 유교화의 기준으로 삼아 개인의 유교화 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폈다. 조선 사회에 유교가 온전히 정착했다고 보는 17세기 또는 그 이후에도 양반 남성이 이중적 일상을 살았다면, 그 의미는 본고에서 논한 것과 전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16세기 이후 양반 남성의 유교화 과정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more초록/요약
As officials, yangban men in the Chosŏn dynasty wielded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social order and the public life of commoners according to Neo-Confucian values. Did yangban men, however, faithfully follow Confucian norms and reject Buddhism and Musok in their daily lives, as they officially instructed others? Drawing on the Diary of Mukjae by Yi Mun’geon (1494-1567) and the Diary of Miam by Yu Heechun (1513-1577), this thesis points out that the sixteenth-century yangban men illustrated duplicity, that is, they adhered to Confucian norms in public life while maintaining non-Confucian customs in private life. Considering that the sixteenth century did not yet entertain a fully Confucian society, the duplicity may have been a natural phenomenon one can encounter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a new cultur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fucianization of men in the Chosŏn dynasty neither look into the words and deeds of men, nor determine the degree of Confucianization on the basis of either practicing decorum in Confucian rituals or of the rejection of Buddhism. By examining the two historical diaries, however, this thesis attempts to measure the level of Confucianization in the private lives of the two authors, Yi Mun’geon and Yu Heechun, observing their words and deeds. It also delves into achieving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he Confucianization of individuals based on practicing decorum in Confucian rituals, and the rejection of Buddhism and Musok. Confucianism is generally thought to have been fully develop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If the yangban men had shown duplicity in their private lives even in the seventeenth century or after, the meaning of the phenomenon would be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is study, which requires further research on the Confucianization of men after the sixteenth centu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