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배경 변인 및 학교 특성,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 교사 전문성 인식 간의 구조관계 연구 : 미인가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learning community,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73 teachers working at the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SPSS 25.0 and AMOS 23.0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background affecte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learning community and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The teacher’s background direct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their learning community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The teacher’s background indirect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rough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From the teacher’s background, the teaching career and the duration of their teaching at their current school were the major factors. Second, the school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both the percep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school characteristics did not directly affect both the percep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school characteristics did not indirectly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rough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Third, the perception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ffected the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erefore, the teachers at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can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rough their 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apply the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must do the following: First, to maintain thei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the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must provide the resources needed to keep their veteran teachers. Th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of the school is th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of its teachers. Then what resources can be provided for these teachers? The schools can change the conditions of the school to accommodate the teachers’ needs, including raising their salary. Second, when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chool (the total student population) does not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ism, the school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increase their student population. Third, the learning community is one way to buil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 is a good environment to boost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the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 environment, the teachers can collaboratively raise their own professionalism. For further studies,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not only from Seoul, Incheon, and Gyeong-gi, but nationwide. In addition, the questions on the survey should be created specifically for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rather than changing the questions used for the public school surveys and using those questions.
more초록/요약
이 연구는 미인가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교사 배경 변인과 학교 특성,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 교사 전문성 인식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인가 대안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273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힌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배경 변인은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과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교사 배경 변인은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교사 배경 변인은 교사 전문성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교사 배경 변인은 교사 학습공동체를 매개로하여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사 배경 변인 중 교사의 교직경력과 해당학교 근무경력은 교사 배경 변인에서 다른 하위 요인보다 큰 설명력을 보였다. 둘째, 학교 특성은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과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학교 특성은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교사 전문성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리고 학교 특성은 교사 학습공동체를 매개로 하여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도 주지 않았다. 셋째, 교사 학습공동체 인식은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하여 미인가 대안학교의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성인 지식과 수행, 태도를 향상 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제언을 하면, 첫째, 미인가 대안학교는 교육의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전문성을 쌓은 교사들이 이직하지 않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미인가 대안학교의 전문성은 곧 교사 전문성이다. 따라서 학교의 교육 전문성을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근무 여건 개선 및 복지 향상을 통해 오랫동안 근무한 전문성 있는 교사들이 계속해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교 규모가 교사 전문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감안할 때, 미인가 대안학교의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 꼭 학교 규모를 키우는 것에 주력할 필요는 없다. 셋째, 교사 학습공동체는 교사 전문성을 키우는 방법이 된다. 미인가 대안학교의 문화적 특성은 교사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기 좋으며, 이 문화적 환경을 기반으로 교사들은 함께 협력하며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적으로 다양한 미인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할 뿐 아니라 미인가 대안학교의 특성을 반영한 설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