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트 아방가르드: 앨런 긴즈버그의 「울부짖음」에 드러난 복수성의 언어와 유토피아적 가능성

The Beats Avant-Garde: The Language of Plurality and Utopian Possibility in Allen Ginsberg's "Howl"

초록/요약

본 논문은 1950년대 미국 시인 앨런 긴즈버그의 시집 『울부짖음 그리고 또 다른 시들』(Howl and Other Poems)의 대표 시 「울부짖음」(“Howl”)을 통해 시가 어떻게 도덕적, 정치적, 인신론적 위기에 주목하여 사회적으로 폐쇄된 이데올로기와 담론 아래 갇혀 있는 독자들의 의식을 환기시키는지 알아본다. 테리 이글튼, 발터 벤야민과 같은 후기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의 이론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긴즈버그의 시적 텍스트, 그리고 그가 사용한 시적 장치들(형식, 언어, 이미지)이 국가의 억압적이고 봉쇄적인 헤게모니적 권력 구조를 탈중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사회에 대한 도덕적 반응을 보이는 시적 글쓰기가 국가 정체성의 거짓 담론을 해체하고 새로운 진실, 즉 시인만의 유토피아적이고 해방적인 진실을 쓴다고 본다. 긴즈버그의 언어 사용은 그만의 유토피아적 가능성(utopian possibility)을 지향하는 복수성의 언어(the language of plurality)이며, 이를 통해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성적으로 억압된 타자들의 언어로 닫혀있던 사회 담론을 열게끔 만든다. 따라서, 본문 1장은 이글튼의 “시적 도덕성”과 “기표의 물질성”의 이론에 기반해 「울부짖음」(“Howl”)의 첫 번째 부분을 1950년대 미국 냉전 시대 속 억압적 봉쇄문화와 함께 읽는다. 사회적 사실주의로서 긴즈버그의 텍스트는 미국 냉전 시대가 품고 있었던 사회적 긴장감을 구현하고 폭로하여 이념적 충돌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닫혀있던 사회 담론을 ‘확장’시켜 헤게모니적 권력 구조를 탈기능화 및 탈중심화 한다고 본다. 본문 2장은 벤야민의 “충격”과 “군중” 이론에 기반해 「울부짖음」(“Howl”)의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각주 부분을 현재 21세기 미국 사회의 탈진실(Post-Truth) 담론 속에서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사변물 양식으로서 시에서 사용된 이미지와 시적 언어는 진실의 거짓 담론 속에서 사회적으로 설립된 헤게모니적 진실들을 ‘분해’ 하고 사회에서 제외된 타자들의 진실을 ‘집합’ 시킨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사회와 관계를 맺고 있는 창의적 생산물로서의 긴즈버그의 시는 시간적 한정성을 넘어 현재 독자들에게까지 그 영향을 발휘하고 또한 해방적인 미국의 내러티브를 기록한다고 본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reads 1950s American poet Allen Ginsberg’s titular poem “Howl” in Howl and Other Poems (1956) with perspective of how the poem attends to moral, political, and epistemological urgencies that would lead the reader’s consciousness to be awakened from the society’s closed ideology and discourse. Taking a critical stance with the theories from post-Marxists Terry Eagleton and Walter Benjamin, this thesis examines that Ginsberg’s poetic text and his uses of poetic device – form, language, and image – decentralize the nation’s oppressive and containing hegemonic power structure. Furthermore, this thesis argues that Ginsberg’s poetic writing as a moral response toward the society deconstructs falsely constructed social discourse, and re-writes the poet’s own utopian and emancipatory truth of “others.” Through the heterogeneous language of socially, economically, and sexually repressed others – the language of plurality – the poem gestures toward the poet’s own utopian possibility that would, in turn, open the closed social discourse. In line with Terry Eagleton’s idea of “morality” and “materiality of signifiers,” Chapter I seeks to read “Part I” of the poem in the context of the containment culture of 1950s Cold War America. I argue that Ginsberg’s text as a social realism of the day embodies and exposes the internal tension that was secured and concealed by the Cold War American society, thereby creating generational and ideological clashes. Ultimately, I attempt to reveal that “Howl” defunctionalizes the repressive hegemonic power structure through what I call Ginsberg’s “project of expansion” in which the poet’s uniquely materialized language and its sound pluralize the inclusive American discourse. Based on Walter Benjamin’s idea of “shock” and “crowd,” Chapter II attempts to re-read “Part II,” “Part III,” and “Footnote” of the poem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social conditions – Post-Truth. As a manner of speculative fictional (poetic) writing, the poetic images and poetic language in “Howl” disassemble socially constructed discourse of the hegemonic truth and assemble the truth of socially excluded “others.” Thus, Ginsberg’s poem as a creative production performs poetic documentation that suggests enduring and liberating American narrative to the reader over the periodical tim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