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기성찰의 조절 및 매개 효과 검증
- 주제(키워드) 정서인식명확성 , 주관적 안녕감 , 자기성찰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UCI I804:11029-00000006479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 311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성찰,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3개의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SPSS와 Haye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정서인식 명확성은 자기성찰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였다. 이로써 정서인식명확성은 주관적 안녕감을 직접 예측하기도 하지만 자기성찰을 통해 예측하기도하므로 자기성찰이 둘의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두 변인 간의 심리적 경로와 조건을 확인하였다는데 연구적 의의가 있다. 교육적, 임상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의 향상을 추구하는 성인 내담자들을 위해 적응적인 삶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해줄 수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이는 개인 상담 뿐만 아니라 부부나 집단 상담 혹은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과제도 함께 제시되었다. 주제어: 정서인식명확성, 주관적 안녕감, 자기성찰
more초록/요약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Soyeon Kang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study, a self-report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311 male and female adults onlin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Haye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awareness clarity has an effect on adults’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between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not recognized. Third, self-refle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clar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t means emotional awareness clarity has an indirect effect on subject well-being through self-refl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pathways to subjective well-being from emotional clarity awareness. Furthermore, i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unseling or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who have difficulties in feeling happiness in daily lif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key words : emotional awareness clarity, subjective well-being, self-refle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