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재인 정부 초기의 대학 구조개혁 정책 변동 분석 : Hogwood와 Peters의 정책변동유형론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arly Moon Jae-in Government’s Policy Change i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Focusing on Hogwood & Peters’ Policy Change Type Framework and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초록/요약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 초기의 대학 구조개혁 정책변동의 유형과 정책변동의 요인 등 정책변동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노무현 정부 이후 정부의 대학에 대한 구조개혁 정책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책변동 유형과 변동요인에 대한 연구를 위해 Hogwood와 Peters의 정책변동유형론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하여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의 정책변동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정책변동유형론에 따라 문재인 정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 정책을 분석한 결과, 의도적인 정책변동 성격을 띠면서 법률(기본계획), 조직, 예산 측면의 변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는 바 ‘정책승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세부적으로는 하나의 정책이 종결, 유지, 중첩, 대체, 혁신 등 다양한 정책승계의 요소가 혼합된 형태인 ‘비선형적 승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정책의 변동과정을 정책문제, 정치, 정책대안의 흐름으로 구분하고, 이들이 만나 정책의 창이 열리며 이 때 정책선도자의 역할을 강조했던 정책흐름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재인 정부의 대학 기본역량 진단은 저출산 가속화에 따른 대학충원율 감소라는 정책문제의 흐름 속에서 적극적인 찬동 혹은 반대의 명분을 갖지 못한 정치권의 방관적 상황을 등에 업고, 교육부가 주도한 강력한 정책대안의 흐름이 만나 정책의 창이 열렸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주도한 정책선도자는 교육부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책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으로 인해 교육당국이 올바르다고 인식하는 교육적 가치의 토대 위에서 정책이 결정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하는 교육적 가치에 대한 꾸준한 논의와 함께 특정 교육정책에 대한 중장기적 관점의 대안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including the type and the factors of the early Moon Jae-in government's policy change i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To this end, first of all, it reviewed the progress of the government's structural reform policy for universities since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of policy change types and factors, Hogwood and Peters' policy change type theory and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the 2018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policy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type theory, it was categorized as a ‘policy succession’ type because of the intentional policy change and the changes in the law (basic plan), organization, and budget. In detail, a single policy can be classified into ‘nonlinear type succession', which is a mixture of various elements of policy succession such as termination, maintenance, overlap, substitution, and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was divided into the flow of policy problems, the flow of politics, and the flow of policy alternatives and as they met, a window of policy was opened and the policy flow model that emphasized the role of policy leader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on Jae-in government's basic competency diagnosis of the univers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on-going situation of the politician who did not have positive or disagreement in the flow of policy problems such as the decrease in university recruitment rate due to the accelerated birth rate, and a strong policy alternative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pened the window of policy. The policy leader who led this trend was the Ministry of Edu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olicy could not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educational values that education authorities recognize as correct due to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policy mak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ally discuss the educational values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and to conduct alternative studies in the mid to long term perspective on specific educational polic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