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t in Bloom”: Finding Queer Happiness in Charlotte Brontë’s Villette
"[Y]et in Bloom": 샬롯 브론테의 『빌레트』에서 퀴어 행복 찾기
- 주제(키워드) Charlotte Brontë , Villette , Queer Theory , Genderqueer , Happines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Richard Bonfiglio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UCI I804:11029-00000006474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thesis explores how Charlotte Brontë’s 1853 novel Villette proposes a possibility of queer happiness. For the last two decades, starting from Leo Bersani’s Homos (1995), queer theory has emphasized the radical possibilities found in negative concepts. In contrast, Michael. D. Snediker has recently called for a rethinking of optimism and coherence in queer theory, asking us to imagine a reconfigured version of coherence and happiness. Following Snediker, this thesis proposes a queer-optimist reading of Villette by arguing that the protagonist Lucy Snowe’s queerness is what allows her lead a happy and fulfilling life, rather than seeing her queerness as a radical failure. Theoretically, this thesis relies on Sara Ahmed’s work on happiness, especially her key term, “happiness scripts.” “Happiness scripts” refer to socially constructed scripts that decide who gets to be happy and in what manner. To situate Ahmed’s “happiness script” within the Victorian context, I build on Nancy Armstrong’s and Elizabeth Langland’s works on middle-class domestic ideology to argue that the most socially celebrated version of the Victorian happiness script, or the hegemonic happiness script, was firmly rooted in said ideology. Based on these theoretical and historical framework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 Victorian hegemonic happiness script is portrayed in Villette. To do so,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Paulina functions as the Angel in the House that secures the middle-class status of her husband, Dr. John, by reading the romantic plot between Paulina and Dr. John as an example of the Victorian hegemonic happiness script. Moreover,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Lucy Snowe, as a narrator, frames the romantic plot of Dr. John and Paulina in a way that demystifies their happiness. Based on these arguments, this thesis first reads Villette as a firm rejection of the Victorian hegemonic happiness script. Then, it demonstrates how Villette offers a possibility of a different kind of happiness that takes place outside of such hegemonic happiness script. Re-reading Judith Butler’s model of melancholy gender by revisiting Sigmund Freud’s theorization of mourning and melancholia, this thesis proposes a model of felicitous gender, or a model of gender-formation which incorporates the lost love-object without hate or bitterness. Based on this model, this thesis argues that Lucy Snowe finds a way to deal with her various losses to be “happily queer”—specifically, by embracing genderqueerness. By interpreting the ending of Villette as a scene of queer happiness, this thesis offers a queer-optimist reading.
more초록/요약
본 논문은 샬롯 브론테(Charlotte Brontë)의 소설『빌레트 (Villette) 』가 어떻게 퀴어한 행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지를 고찰한다. 레오 버사니(Leo Bersani) 의『호모스 (Homos)』(1995) 부터 시작해서, 지난 20년간 퀴어 이론은 퀴어의 부정성에 어떤 급진적인 힘이 있는지에 집중해왔다. 이에 반해, 마이클 D. 스나이디커(Michael D. Snediker)는 최근 퀴어이론이 긍정성을 재발견하기를 촉구했다. 스나이디커를 따라, 이 논문은『빌레트』의 주인공 루시 스노우(Lucy Snowe)의 퀴어함이 그녀에게 행복한 삶을 살게 해준다고 주장하여『빌레트』를 퀴어-긍정적(queer-optimist)으로 읽는다. 이 논문은 이론적으로는 사라 아메드(Sara Ahmed)의 행복에 대한 이론을 사용하는데, 특히 아메드의 주요 개념은 "행복 각본”(happiness script)을 사용한다. "행복 각본"이란 사회적으로 구성된 각본으로, 누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지를 한정하는 각본이다. 아메드의 "행복 각본"을 소설의 배경인 빅토리안 시대에 적용하기 위해, 본 논문은 낸시 암스트롱(Nancy Armstrong)과 엘리자베스 랭랜드(Elizabeth Langland)의 빅토리안 중산층에 대한 연구를 인용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빅토리아 시대에 가장 사회적으로 인정된 "행복 각본"은 중산층 이데홀로기에 기반되어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론적, 그리고 역사학적 기반위에서, 이 논문은 먼저『빌레트』에서 빅토리안 "행복 각본"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은 폴리나(Paulina)가 자신의 남편의 중산층 계급을 안정화시키는 가정의 천사(Angel in the House)라는 주장을 한다. 또한, 이 논문은 폴리나(Paulina)와 존(Dr. John)의 로맨틱 플롯을 빅토리안 "행복 각본"의 한 예시로 읽으며, 루시가『빌레트』의 일인칭 화자로서 이 로맨틱 플롯의 환상을 어떻게 깨트리는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빌레트』가 빅토리안 "행복 각본"을 거부한다고 주장한다. 그 후, 이 논문은『빌레트』가 빅토리안 "행복 각본" 외의 어떤 다른 행복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의 멜랑콜리 젠더 (melancholy gender)모델을 지그문드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와 우울(mourning and melancholia)로 재해석하여, 이 논문은 행복한 젠더(felicitous gender)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상실한 사랑의 대상을 증오나 괴로움 없이 자아에 내면화하여 젠더가 형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을 기반으로, 본 논문은 루시 스노우가 수많은 상실을 이겨내고 퀴어로서도 행복한 삶을 찾는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행복이 그녀의 젠더퀴어함 (genderqueerness)에서 온다고 주장한다. 『빌레트』의 마지막을 퀴어한 행복의 한 장면으로 읽음으로써, 본 논문은 퀴어-긍정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