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 '어린이들 삶에 관한 리얼리즘 재현'으로써 학교영화
Little Crow
- 주제(키워드) 까마귀 , LIttle Crow , 학교영화 , 어린이영화 , 리얼리즘 영화 , 독립영화 , 비전문 어린이 배우 , 네오리얼리즘 ,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Michael Unger
- 발행년도 2020
- 학위수여년월 202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영상예술
- UCI I804:11029-00000006471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 삶을 리얼리즘적 재현방식으로 표현함에 있어 연구자가 학교영화 제작현장에서 진행한 제작 프로세스 전반과 경험을 통해 고민하게 된 문제점들을 분석한다. 특히 학교영화 <까마귀>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연구자가 내세운 세 가지 프로덕션 전략-내러티브 부문에서는 ‘도덕적 성찰과 예술적 표현이 가능한 이야기’, 환경 부문에서는 ‘어린이 삶의 리얼리즘적 재현이 이루어지는 시.공간’, 연기 부문에서는 ‘비전문 어린이.성인 배우의 사실적 연기’-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연구자가 기존에 제작한 두 편의 학교영화 <쫄보>(2018)와 <티볼>(2018)의 사례 분석을 추가하여 부족한 자료를 보충하고 대중화 되지 않은 학교영화 제작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학교영화 제작은 일회성 교육자료로써 기능함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더더욱 상업적인 이윤 추구만을 목표로도 하지 않는다. 어린이들의 일상적인 삶이 학교영화의 주제로써 어린이다운-어른들의 흉내를 내지 않아도 되는-감성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어른들에게는 어린이들이 사회 구성원의 독립된 존재로서 존중되어, 대중성과 상업성만을 강조하거나 일부 장르에만 편중되어 있는 어린이 영화 시장의 현실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영화적 표현의 다양성을 고민하는 흔적으로써 더 큰 의의를 둔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mplations of the researcher, from the first half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chool film genre, and the experience of expressing the lives of children through realistic reenactment. The core of the study revolves around, specifically, the researcher’s three production strategies for the school film <Little Crow>: For narrative, ‘a story that allows for moral reflection and artistic expression’, In environment, ‘a location and time that allows for realistic reenactment of the lives of children’, and in acting, ‘neo realist style of acting by non-professional children and adult actors’. The researcher also suppor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non-commercial subject matter of the school film genre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case study of two former films <JJOL-BO> and <T-ball>(2018). But the purpose of the school film production is not to serve as one off educational material. Commercial reception and profit are especially not the goal. A larger meaning is placed in proving an emotional and sensory experience through the usage of the daily experiences of children as a topic of the genre–in which children do not have to mimic adults–and respecting them as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And as such, to scrutinize the conditions of the children’s film market, which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genres of mass commercial appeal, and to reflect upon the general issues of diversity in film expre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