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cing Unqualified Bodies Center Stage in Delaney's A Taste of Honey and Cornelius's Love
딜레이니의 <꿀맛>과 코넬리우스의 <러브>에 나타나는 무대화된 몸; 서벌턴 청소년의 언어 되찾기
- 주제(키워드) A Taste of Honey , Love , Shelagh Delaney , Patricia Cornelius , Homelee teenage girls , Subalternity , Coming-of-age drama , Liminality , Rite-of-Passage , Communitas , Anti-structure , Heterotopia , 맛 , 러브 , 셸라 딜래니 , 패트리샤 코넬리우스 , 서벌턴 , 성장극 , 리미널리티 , 통과의례 , 반언어 , 주체성 , 코뮤니타스 , 헤테로토피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Claire Maria Chambers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657
- UCI I804:11029-000000064657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thesis depicts how subaltern protagonists restore their speaking ability by comparing Shelagh Delaney’s A Taste of Honey (1958) and Patricia Cornelius’s Love (2006). As a coming-of-age drama, both plays follow the process of Arnold Van Gennep’s notion of rite-of-passage. I argue that the protagonists’ rite-of-passage is peculiar because they are subalterns who lose the language that expresses themselves because they are outside of normative social structures. As homeless teenage girls, the protagonists’ rite-of-passage has a particular purpose: restoring their subjectivity by deconstructing established structures. Each chapter of this thesis corresponds to Phases of Van Gennep’s rite-of-passage. The chapters compare and contrast the protagonists’ rite-of-passage to other rite-of-passage of teens in normative social structures revealing the protagonists’ precarious life-condition that gives them subalternity. This thesis especially emphasizes Victor Turner’s term of the transition phase and the liminoid phase. In the liminoid phase, the protagonists make a temporal heterotopia within an alternative family relationship. The alternative family is an effective way of satisfying the protagonists’ frustrated desires, but at the same time, it reveals the protagonists’ vulnerability caused by lacking language. They are obliged to use normative language even when making alternative communitas which is outside of the oppressive normative structures. Without their language, the protagonists have to stay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rather than restoring their subjectivity. However, the genre of the text solves the problem of losing subjectivity. The drama places the protagonists’ bodies on the center of the stage, therefore placing them in front of the audience who are in normative societies. The audience witnesses the protagonists’ way of living, not as unqualified bodies which fail to incorporate normative communities, but as individual subjects who have a particular lifestyle different from the normality.
more초록/요약
본 논문은 청소년 성장극인 셸라 딜래니의 연극 <꿀맛>과 패트리샤 코넬리우스의 연극 <러브>를 비교하여, 사회 속에서 소외된 존재로서 하위주체성을 지닌 각 연극의 주인공이 어떻게 자신의 발언권을 회복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꿀맛>의 주인공 조와 <러브>의 주인공 애니는 규범적 사회구조에 속하지 못한 청소년으로서, 규범적 사회로부터 배제된 하위주체이다. 규범적 사회로부터 배제된 이들 하위주체는 기존 언어로는 자신의 상황을 설명하지 못한다. 인간의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범주화하여 규정하는 수단으로서 언어는 필연적으로 지배담론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극은 비규범적인 몸을 무대 위에 올려놓고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하위주체도 개별자로서 존재하며, 하위주체는 사회성원으로서의 주체 자격에 미달하는 것이 아니라 규범에 속한 다수와 다른 삶의 방식을 택한 것임을 역설한다. 규범적인 언어로는 포착하지 못하는 하위주체의 주체성은 하위주체를 무대의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회복된다. 본 논문은 빅터 터너의 통과의례 이론을 중심으로 하위주체 청소년의 특유한 통과의례를 분석하여, 조와 애니의 통과의례는 하위주체의 발언권을 박탈하는 규범적 언어에 대항하여 서벌턴의 주체성을 회복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