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뉴미디어 활용이 노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미디어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영상제작활동을 하는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New Media Utiliza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Media Percep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active seniors engaged in video production activ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미디어 환경에 적응하여 노인의 시기에 습득한 뉴미디어 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증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먼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전통적인 미디어를 선호하고 있는 노인 그룹과 뉴미디어에 적응하여 활용하고 있는 노인 그룹을 분류하여, 미디어 선호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연결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인천과 전주 등지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09명의 응답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생애의 대부분 동안 사용했던 전통적인 미디어를 뉴미디어로 대체했을 때 노인들의 삶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인 시기에 접어들어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영상제작활동을 하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들과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맥루한의 미디어 테트라드의 4가지 질문을 적용하여 자기 자신과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로 인한 일상생활의 행동과 습관, 태도의 변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노인세대의 미디어경험이 어떻게 삶의 내용을 바꾸는지 분석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결과, 전통적 미디어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감이나 자아존중감, 사회연결감과 같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뉴미디어를 이용한 활동은 노인의 생활만족감, 자아존중감, 사회연결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들이 뉴미디어를 사용하는 빈도와 양에 따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가 향상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와 사회연결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측정되었다.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결과, 이들은 영상제작활동을 통해 1) 시각적 표현력과 외부세계에 대한 관심의 확장,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강화, 2) 문자적 사고의 퇴화, 예의와 체면의 상실, 3) 낯설음을 즐김과 유행에 대한 민감성의 부활, 4) 자아와 고전으로의 역전이라는 삶의 구체적인 변화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전통적 미디어 이용률이 매우 높으나 이는 습관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을 뿐 삶의 질과 관련된 의미 있는 활동이 되지 못하며, 이와 반대로 뉴미디어 활동은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 관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연결감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뉴미디어를 사용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인식의 변화와 이로 인한 일상생활의 행동과 습관,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 테트라드 개념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was conducted together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to find out how new media activities acquired in the age of the elderly could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adapting to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First, the study classified the elderly group that still prefers traditional media and the elderly group that adapts to new media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tried to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connection in the effect of media preference on life satisfaction.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living in Incheon and Jeonju, and 409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so,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hat specific changes occur in the life of the elderly when replacing traditional media that was used for most of their lives with new media.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active seniors who are making videos using new media in the elderly period were conducted. And by applying four questions of McLuhan's Media Tetrad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media experience of the elderly generation changes the contents of life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the external world and the changes in the behaviors, habits and attitudes of everyday life. As a result of empirical research, traditional media activit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such a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ocial connection of the elderly. However, activities using new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ocial connection of the elderly,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ion were measured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d amount of using new media. As a result of FGI with active seniors, through video production activities, they were aware of concrete changes in life, such as 1) expansion of visual expression and interest in the outside world, and reinforcement of media literacy competence, 2) degeneration of literal thinking, loss of courtesy and face, 3) enjoyment something unfamiliar and a revival of sensitivity to fashion, 4) reversal to the self and classic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ved that the traditional media usage rate of the elderly is very high, but it is habitually using media and it is not meaningful activit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nd on the contrary, the new media 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at self-esteem and social connection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concept of Marshall McLuhan's media tetrad was applied to look at the changes in perception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behavior, habits and attitudes in daily life caused by the use of new medi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