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감각처리모델을 적용한 스마트폰 이용 분석 : 인지된 매체풍요도의 매개효과 및 감각처리 역치와 행동반응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 차이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인간의 감각처리가 스마트폰을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영상통화, 음성통화, 메신저, 문자)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 과정에서 매체풍요도이론과 최적각성이론을 포괄적으로 적용 및 검토함으로써, 매체 이용에 대한 감각처리이론을 제안하고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부터 50대까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내국인을 전체 모집단으로 하여, 2018년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전문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패널을 대상으로 랜덤 추출 샘플링을 통해 6,424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을 고려한 할당 표집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는 1,065명이 참여했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거나 조사 연령대에 해당하지 않는 참가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013명이 모든 설문에 응답하였다. 분석 과정은 감각처리가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감각처리 이론의 가정), 영상통화, 음성통화, 메신저, 문자 매체에 대한 인지된 매체풍요도가 감각처리와 스마트폰 이용 사이에 매개효과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감각처리가 스마트폰 이용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인지된 매체풍요도가 감각처리와 매체 이용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회피를 제외한 모든 감각처리 변인이 일부 또는 전체 매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각추구 변인은 영상통화이용, 음성통화이용, 메신저이용, 문자이용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감각처리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감각처리 역치 차원에서 감각처리가 스마트폰 이용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감각처리 역치 차원에서 역치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감각민감성은 영상통화이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역치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낮은 등록은 영상통화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감각 역치가 낮을수록 영상통화 이용을 덜 하고, 감각 역치가 높을수록 영상통화 이용을 더 한다고 해석되므로, 감각 역치와 매체 이용과의 관계에서 본 연구가 제안하는 감각처리이론의 가정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감각처리가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된 매체풍요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감각처리와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 간에 6개의 매개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각처리 역치와 행동반응의 상호작용에 따라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통화이용, 음성통화이용, 문자이용에 대해 역치와 행동반응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음성통화이용과 문자이용에 대해서는 역치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행동반응의 주효과와 역치와 행동반응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메신저이용에 대해서는 역치의 주효과만 유의미했고, 역치가 낮을수록 메신저이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역치가 높고 행동반응이 능동적인 감각추구가 높은 집단은 영상통화이용, 음성통화이용, 문자이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역치가 낮고 행동반응이 능동적인 감각회피가 높은 집단은 메신저이용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디어연구에서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으로서 발견되어 왔던 자극추구성향, 민감성, 성격의 외향성, 내향성 등과 감각처리와의 관련성을 문헌적으로 검토하고, 감각처리라는 포괄적인 영향 요인을 가정하여 미디어 이용에서 감각처리이론을 제안하고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그 결과, 인간의 감각처리는 스마트폰 이용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매체풍요도 지각이 매개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미디어연구의 이론적 확장성과 실무적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human sensory processing could affect communication media (voice call, video call, text message, instant messenger) using smartphon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nd examine sensory processing theory for media use by applying and reviewing media richness theory and optimal arousal theory in the process of using smartphone communication media. To do this, it was carried out an online survey from September 10th to 14th, 2018, with Koreans using smartphones in their 20s and 50s as the whole population. An e-mail was sent to 6,424 people through a random sampling of panels owned by research institutes, and performed assignment sampling considering sex and age. 1,065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013 responded to all surveys, with the exception of participants who did not use smartphones or were not included in the survey. The analysis process verified whether sensory processing affects smartphone usage (assumption of sensory processing theory), and whether the perceived media richness of voice call, video call, text message, and messenger media has mediating effects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media u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found that sensory processing partially influenced the use of smartphone media, and that perceived media rich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smartphone media us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ensory processing variables except for the sensory avoiding affect the use of some or all media. Especially, sensory seeking variab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oice call, video call, text message use, and messenger use. As a resul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ensory processing was confirmed as a factor affecting the use of smartphone communication media. Second, I found that sensory processing partially affects smartphone media usage in the sensory processing threshold dimension. For example, sensory sensitivity, which means low threshold in sensory processing threshold, has a negative effect on video call use, and low registration, which means high threshold, has a positive effect on it. This is because the lower the sensory threshold value is, the less the use of the video call is, and the higher the sensory threshold value is, the more the use of the video call is interpreted. Therefore, the hypothesis of sensory processing theory proposed by this study is partially confirmed.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media richness was examined in the process of sensory processing affecting the use of smartphone media. The analysis showed that six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between sensory processing and smartphone use, all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smartphone communica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sensory processing threshold and behavioral response. Interaction effects of thresholds and behavioral responses were found for video call, voice call, and text message use. The main effect of the threshold was not shown for the voice call and the text message use but the main effect of the behavioral response and interaction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use of the messenger, only the main effect of the threshold was significant, and the lower the threshold level, the more the use of the messenger was. In conclusion, the group with high sensation seek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video call, voice call, and text use.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high sensation avoiding was the most using the messeng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to sensation seeking, sensitivity, extroversion, introversion, and sensory processing, which have been found to be influential on media usage in media research. Theories of sensory processing in media use are proposed and investigated empirically. As a result, human sensory processing partially affects the use of smartphone media, and in the process partially confirmed the effect of media richness percep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media research. In ad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