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후반 西人의 咸鏡道 경험과 정치활동 : 金壽恒과 閔鼎重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김수항 , 민정중 , 함경도 , 청나라 , 별시 , 현종 , 공의‧사의 논쟁 , 북새선은도 , Kim Suhang(金壽恒) , Min Jeongjung(閔鼎重) , Hamgyeong Province , Qing China , occasional civil and military service exams , Hyeonjong(顯宗) , the public-private controversy , Buksaeseoneundo(北塞宣恩圖)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계승범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629
- UCI I804:11029-00000006462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 金壽恒(1629~1689)·閔鼎重(1628~1692)의 함경도 경험과 그 정치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김수항과 민정중은 1664년(현종5)에 각각 함경도 별시 상시관과 함경도 관찰사로 임명을 받고 출사하였다. 이들은 함께 별시를 주관하고 지역의 상황을 조사‧보고하면서, 함경도의 경영 정책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당시 서인의 핵심 인물인 김수항과 민정중이 변방 지역인 함경도로 나간 것은 公義‧私義 논쟁의 영향이었다. 현종 초기 조정은 徐必遠(1614~1671)과 宋時烈(1607~1689)을 중심으로, 임금에 대한 공적 의리와 청에 대한 개인의 사적 복수 의리를 강조하는 세력이 나뉘어 대립하였다. 김수항‧민정중은 송시열을 지지하며 서필원 측에 불리하도록 인사권을 행사하였고, 현종은 이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종은 김수항과 민정중을 함경도로 내보냈고, 이들은 자신들의 함경도 출사를 정치적 처벌로 받아들였다. 따라서 김수항‧민정중은 그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 중앙 정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함경도 활동에 참여하였다. 당시 함경도는 불안정한 朝-淸관계 속에서 지배층의 걱정과 관심이 집중된 곳이었다. 김수항과 민정중은 이러한 조정의 기대에 부응하여, 함경도의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건의하고 시행하였다. 이는 자신들의 역할과 성과를 선전함으로써 정치적 영향력을 회복하고자 한 것으로, 별시 장면을 그린 회화 《북새선은도》는 그 결과물이었다. 이와 같은 노력은 이후 그들의 정치 활동과 입지에 큰 영향을 주었다. 중앙 조정으로 복귀한 후, 이들은 함경도의 실정을 잘 아는 전문가로 인정을 받았다. 이후 지역 관련 논의를 주도하면서,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또한 함경도에서의 경력과 인적 관계를 적극 활용하여, 정치적 대립 상황에서 자신들의 주장에 힘을 더하였다. 이들은 위기를 정치적 기회로 만들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김수항‧민정중의 함경도 활동상은 17세기 후반 조선의 정치 상황과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청의 입관 이후로도 조선은 청의 침략 가능성에 대해 위기를 느꼈으며, 이는 寧古塔 회귀설로 표출되고 三藩의 亂(1673~1681)으로 증폭되었다. 따라서 당시 지배층은 청의 침입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북방 지역에 주목하고 있었다. 김수항‧민정중은 이와 같은 조정의 인식과 관심을 반영하여, 선정과 교화를 통해 지역민을 포섭하는 함경도 정책을 건의하고 시행하였다. 이들의 지역 경험과 경영 활동은 당시 조정의 대청 인식과 함경도 인식을 대표하는 것이었다. 또한 김수항‧민정중과 함경도 사회의 접촉은 지역 유림의 성장 및 중앙과의 관계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민정중이 함경도에 부임한 이후로 지역 유생들은 정치적으로 西人‧老論을 지지하는 행보를 보였다. 함경도 유림들이 집권 세력과 관계를 맺으면서, 중앙 정치에 간접적으로나마 개입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수항과 민정중의 함경도 경험은 지역 사회가 정치적으로 발전하는 한 측면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함경도 출사를 둘러싼 정치상황은 국내 붕당 정치의 흐름을 보여준다. 공의‧사의 논쟁 이후 김수항과 민정중이 겪은 정치적 부침은, 서인 내부의 학문‧정치사상적 노선 차이가 충돌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로 인하여 많은 인사들이 정치 진출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때의 참여자들은 대체로 숙종 대 이후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졌다. 이러한 점에서 공의‧사의 논쟁과 그 정치적 여파는 숙종 대 노론‧소론 분열의 서막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김수항과 민정중의 함경도 경험 및 정치 활동은 17세기 후반 조선의 대내외적 정치 상황과 그 특성을 잘 반영하며, 또 그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more초록/요약
With emphasis on Kim Suhang (1629-1689) and Min Jeongjung (1628-1692), leading Westerners in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600s, this paper examines their special careers in Hamgyeong Province, located in the northe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best use of such experiences on the political stage of factionalism after returning to the capital city. In the course of the public-private controversy intensified in the royal court of King Hyeonjong (r. 1659-1674), Kim and Min went unwillingly against the throne, with the result that both of them were relegated to the remote borderland, Hamgyeong Province. This made Kim and Min work hard for the local issues and propagate their achievements to the royal court, with intent to restore their political influence. As a result, Kim and Min were recognized as being well informed about the regional circumstances, and for this reason, they could drive policy decisions on the Hamgyeong Province. They also took advantages of their experiences to support their arguments in the factional conflicts. Kim and Min’s career in Hamgyeong Province shows the political situation of Joseo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late-17th-century. The ruling elites in that period had strongly felt a sense of crisis, especially about the invasion from Qing China. It was this anxiety that Kim and Min’s suggestions on local policies reflected. Moreover, their experiences reveal an early phase of political development in the local scholarly community. Since the contact with Kim and Min, Confucian scholars in Hamgyeong Province had been associated with the ruling power in central government, which resulted in supporting Westerners and Patriarchs, as much as getting an academic authority from them. Lastly, Kim and Min’s political ups and downs, centered on the province, suggest the trend in domestic factional politics. Their demotion to the periphery was stemmed from the conflict over the academic and political ideologies within the Westerners, implying the prelude to the division of Patriarchs and Disciple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r.1674-17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