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역사교사의 수업 실행과 역사수업에 대한 인식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lassroom instruction and perception of history teaching
- 주제(키워드) 교육실습 , 역사과 예비교사 , 역사수업 , 역사수업 이론 , 수업 경험 , 교사양성 프로그램 , Teaching practice , Pre-service history teacher , History class , Class experience , History teaching theory , Teacher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민정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576
- UCI I804:11029-00000006457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experience in teaching practice, concretely their classroom instruction. For this, In this paper, quantita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pre-service history teachers implement history classes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ir instruction in teaching practice. Second, how pre-service history teachers use the theory of history teaching which acquired from course of teacher education. The result of the first question is that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lass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Each type had a big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class. The mor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nsidered their own historical perceptions or beliefs, the more they conducted classes that were close to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ir classes. And the result of the second question, man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agreed on the theory of history teaching emphasized during the course of histo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ried to apply this to their classes. The teachers who applied the theory in their class, predicted the feasibility of the theory higher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This suggests that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theory successfully at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may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the history class in the future. Meanwhile, man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had an oversimplified or mistaken perception of the theory of history teaching, such as ‘Doing History’ and ‘Democracy Citizens Education’. Overall, there was a lack of meta - cognition and reflection on their understanding. In addition, man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ere vaguely aware that teachers’ efforts were necessary to realize the theory, and the low level of students’ competence a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realization of the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main discourses of the history education research and the field are distributed the pre-service teachers and need to find out how they understand it. Also it suggests that the teaching practice program should include processes that can be reflected by applying theories and teaching goals that are important for each subject.
more초록/요약
최근 학교 현장과 현직교사를 중심으로 수업 보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수업의 공개와 공유, 그리고 성찰을 통해 역사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여전히 예비교사의 수업은 ‘블랙박스’에 갇혀있다. 이는 예비교사의 수업을 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교육실습 밖에 없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역사과 교사교육 차원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을 살펴보려는 노력이 그동안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예비 역사교사가 교육실습에서 실행한 수업을 살피고, 이들 수업의 유형을 크게‘인터넷 강의형’,‘학생 활동 중심형’, ‘낯설게 하기형’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에 따라 수업의 구성 과정과 평가 결과에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 역사교사들은 본인의 역사 인식이나 신념을 고려할수록, 역사적 사고력 향상에 가까운 수업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많은 예비 역사교사들은 역사과 교사양성과정에서 강조하는 역사수업 이론에 대해 동의하고 있었고, 이를 본인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론을 적용해 본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이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높게 예측하고 있었다. 이는, 예비교사 단계에서 이론을 성공적으로 적용해 본 경험이 향후, 역사수업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역사수업 이론에 대한 인식에서는, ‘역사 하기’와 ‘민주시민 교육’과 같은 역사수업 이론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이해하거나,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본인의 이해도에 대한 메타적인 인식이나 성찰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예비교사들은 이론 실현을 위해 막연하게 교사들의 준비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으며, 실현에 장애가 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 학생들의 수준이나 역량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교육 차원에서 역사교육연구와 현장의 주요 담론들이 예비교사들에게 어떻게 유통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각 과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과 별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이론이나 수업 목표들을 현장에서 적용하고, 그 결과를 성찰해 볼 수 있는 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