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 서술과 문제점

The problems in the description of Korean-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Textbooks

초록/요약

2019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also mean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 because of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clearly declar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succe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ven though there are still many disputes. Like this, Republic of Korea has inherited the independent spirit of independence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as arrived today.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d been continuing steadily for 36 years, happened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many parts of the world, by various people and organizations. While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nd Maritime Territory has been widely known,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who had immigrated to the U.S. has not been known well. However, It is said that it was thanks to the support of Korean residents in the U.S.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intained for 26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in the U.S. and how does current history textbook deal with it, and what is the problem of that descriptions.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in the U.S. is divided into four different periods. By the 1910's befor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Koreans in the U.S. tried to protect Korean residents in the U.S. by establishing a Korean resident society around the organiz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residents in the U.S.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diplomatic propaganda and fundraising. In the 1930s, Koreans in the U.S. staged a unified campaign to revive the enthusiasm of the pro-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stalled by the Great Depression. As a result, the United Korea Committee in America was inaugurated in the 1940s and actively supported the preparation of an independent war by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Pacific War.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s in the U.S. is described in a Korean history textbook at high school, but it is hardly described in a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Korean-American Independence Movement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has mistakes or omiss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actual historical facts and need to be corrected. History education must teach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independent spirit of independence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continued even overseas and has now reached today, the Republic of Kore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kind of people and organizations stag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it will help to get expanded view and awareness to see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 hope such research will make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more

초록/요약

2019년은 3・1 운동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범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음에도,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임시정부를 계승함을 헌법에 명시하고 있어, 이는 곧 대한민국의 건국 100주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처럼 대한민국은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일제강점기 36년 동안 줄기차게 전개되어 온 독립운동은 한반도뿐이 아니라 해외 각지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단체들에 의해서도 이루어졌다. 그런데, 해외에서 전개된 독립운동 중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은 물론 만주와 연해주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의 독립운동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성립 이래 26년 동안 유지해올 수 있었던 것은 재미 한인들의 지원 덕분이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에 대해 살펴보고, 그것이 현행 역사 교과서에 어떻게 서술되어있는지 검토하며, 역사 교과서의 재미 한인 독립운동 서술이 갖는 문제점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은 각 시기에 따라 크게 네 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1910년대 3・1 운동 이전까지 재미 한인들은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재미 한인사회를 구축하고 한인들을 미국 사회에서 보호하는 데에 힘썼다.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재미 한인들은 외교선전 활동과 독립자금 모금으로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30년대 재미 한인들은 국내외 독립운동의 영향을 받아, 대공황으로 침체된 독립운동 열기를 다시 고무시키기 위하여 통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로 1940년대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가 발족 되어, 태평양 전쟁기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이러한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는 서술되었지만,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는 거의 서술되지 않았다. 또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재미 한인 독립운동 서술에도 실제 역사적 사실과 다른 오류들이나 누락 된 사실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역사 교육은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 정신이 해외에서도 이어져 와 오늘날 대한민국에 이르렀다는 역사적 사실을 가르쳐야 하며, 특히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유지에 큰 도움을 준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은 역사 교과서에 올바르게 서술되어야 한다. 재미 한인들의 독립운동이 어떤 사람, 단체에 의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이해하는 것은, 독립운동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과 인식의 지평을 더욱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앞으로의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제언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