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도덕적 이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 구성원 간 친밀성 지각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and Unethical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on unethical behavior,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two experimental studies with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s participants (Study 1), and two survey researches (Study 2) with employees in sales and office positions as participants.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and unethical relationship after manipulation of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Both Study 1-1 and 1-2 measured the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prior to experimental manipulation; while Study 1-1 asked the participants to recall one of their close relationships for manipulation, Study 1-2 utilized an in-basket tasks used in assessment centers to manipulate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a virtual organization that the participants were to be part of. Interpersonal closeness that were manipulated in both studies then used to examine whether it moderates the effect of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on unethical behavior. Both Study 1-1 and 1-2 showe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propensity to morally disengage and unethical behavior, and such associations were weaker when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were higher. Study 2 consisted of two survey studies. Study 2-1 took employees in sales position as participants and examined whether clan cultur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stification and unethical behavior. Study 2-2 examined the moderation effects of clan culture and workplace friend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and unethical behavior among office employees. In addition to the positive main effects of the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on unethical behavior found in Study 2-1 and 2-2, both studies also showed the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reinfor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for moral disengagement and unethical behavior. General discussion summarized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some organization-specific factors that affects moderation pattern of close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effect of perceived interpersonal clos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nsity to morally disengage and unethical behavior was greater when the goal stress and perceived goal-contingent reward was higher, and when participants perceive their organization does not emphasize ethical value. Lastly,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이탈 경향성(propensity for moral dis- engagement)이 비윤리적 행동(unethical behavior)에 미치는 영향 및 이 관계 에 대한 구성원 간 친밀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두 개의 실험연구(연구 1)와 두 개의 설문연구(연구 2)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친밀성을 조작하고 도덕적 이 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1-1과 1-2 모두에서 실험 조작에 앞서 도덕적 이탈 경향성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1-1에서는 본인의 친밀한 관계를 상기하게 함으로써, 연구 1-2에서는 평가센터의 서류함 과제를 사용하여 참가자가 소속된 가상조직의 문화와 분위기를 조작함으로써, 친밀성 지각 여부가 도덕적 이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 1의 두 개의 실험에서 도덕적 이탈 경향성이 높을수록 비윤리적 행동이 증가하였으며, 친밀성 지각이 높은 조건에서 도덕적 이탈 경향 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가 약해졌다. 연구 2는 두 개의 설문연구로 구성되었다. 연구 2-1에서는 판매직 종사자들 을 대상으로 도덕적 정당화와 비윤리적 행동의 관계를 관계지향문화(clan culture)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으며, 연구 2-2에서는 일반 직장인들을 대상으 로 도덕적 이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를 관계지향문화와 직장 내 우 정(workplace friendship)이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처럼 두 개의 설문연구 모두에서 도덕적 이탈 경향성은 비윤리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 다. 다만 연구 1과는 달리 연구 2에서는 구성원 간 친밀성 지각이 높을수록 도 덕적 이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가 더 강화되었다. 종합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 및 결과를 요약하고, 조직 내외의 친밀한 관계의 조절 패턴에 차이를 만드는 요인으로 경쟁 압박과 목표스트레스, 윤리적 가치의 망각과 같은 조직 장면의 특수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적 이탈 경향성과 비윤리적 행동 간 관계에 대한 친밀성 지각의 강화효과는 목표스 트레스가 높을 때, 목표-보상 연계성을 높게 지각할 때, 회사가 윤리적 가치를 강조하지 않는다고 지각할 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