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위상과 발전 과정 연구 : 국정과제 제시 역할로 본 대통령직인수위원회
A Study on the Statu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 주제(키워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국정과제 제시 , 인사 연계성 , 대통령직인수에 관한 법률 ,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이현우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정치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473
- UCI I804:11029-00000006447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특성과 위상 및 역할의 변화 등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대통령 권력이임 시기의 행정적 인수·인계뿐 아니라 곧 출범할 새 정부의 국정 청사진의 기초를 마련하고 제시한다. 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제도적 변천과정을 분석하고 역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국정 로드맵 제시에 얼마나 충실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양적분석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제도적 변천과정을 통한 역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규모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제14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부터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까지 인수위원 등 참여인원과 인수분과 및 예산 규모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부터 법적 지위와 권한이 공식화되면서 인수위원과 예산 규모가 눈에 띠게 확대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로서 인선의 특성 분석을 통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새 정부 간 인선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5년 마다 출범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인선 특성은 정무적 판단을 고려한 '논공행상'의 인물발탁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물을 임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군사독재정부 시절 야당지도자, 민주화 투사였던 김영삼·김대중 대통령당선인이 이끌었던 제14·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당시 3당 합당과 DJP연합 등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당내 견제세력 내 인물을 발탁하는 등의 논공행상 인선 특성을 보였다. 반면, 대통령직 인수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인의 강한 개혁의지와 정치적 부채가 없는 특성 등으로 인수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제외한 인수위원 전원을 개혁성향의 전문가 및 교수진으로 구성하는 파격을 보였다. 제17·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경우, 앞선 경우를 통합해 정무적 판단에 따른 정치인 발탁과 전문가 등으로 통합적 인수위를 구성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핵심 기능이랄 수 있는 국정 청사진 작업에 얼마나 충실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제시한 국정과제와 새 정부 출범 후 발표한 국정과제 간의 일치성 및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국정과제는 인수위원회와 새 정부가 각각 분야별로 발표한 순서대로 우선순위 20%를 대상으로 양측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거듭될수록 인수위원회의 국정과제 제시 역할 기능을 더욱 확대되면서 안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14대 인수위-문민정부의 국정과제 매칭은 33%, 제15대 인수위-국민의정부 40%, 제16대 인수위-참여정부 60%, 제17대 인수위-이명박정부 50%, 제18대 인수위-박근혜정부 50%로 각각 매칭률을 나타냈다. 특히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백서를 처음 발간한 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00대 국정과제를 처음으로 선정해 이후 들어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전형이 되었다. 나아가 대통령직인수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역대 인수위원회 중 국정과제 마련에 총력을 기울인 인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인수위원회와 새 정부의 국정과제 매칭에서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60%라는 가장 높은 일치율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제1718대 인수위원회 역시 앞선 인수위원회의 영향으로 국정과제 청사진 작업에 매진하였으며 역대 두 번째의 일치율(50%)을 나타냈다. 이상의 분석 결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법적 지위 강화에 따라 위상 변화와 실질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었다. 앞선 경험들이 뿌리가 되어 경로의존적인 발전 형태를 나타내었다. 다만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점차 더 체계화되고 발전했지만 대통령 당선인의 개인 스타일에 따라 실질적인 조직운영과 역할이 더 강화되거나 흔들릴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정농단 사태로 대통령 탄핵에 따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과정 없이 출범한 현 문재인정부 입장에서는 새 정부의 국정 준비를 위한 시간을 갖지 못한 것이 아쉬운 대목이라고 하겠다. 인수위는 이전정부로부터 배우고 차기정부에서 반면교사 삼아 시행착오를 줄여나가 보다 더 정제되고 체계화된 국정운영을 해나갈 수 있는 기구다. 인수위원회와 새 정부가 마련한 국정과제를 모두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더라도 인수위원회라는 공식기구에서 주요 정책이 검증되는 과정은 매우 의미 있는 국정정보다. 그 자체로 국정시스템의 체계화와 투명성 강화이며 결국 유권자인 국민들을 위한 민주적 국정운영이다. 무엇보다 대통령 탄핵이라는 위기적 정치상황이 초래한 국정공백이 결국 정상적인 과정을 거친 정권교체 및 이양이 주는 안정감과 국정청사진 수립을 훼손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달을 수 있다. 또한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가와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status and role changes of th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Th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will lay the foundations for the new government's blueprint for the upcoming launch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takeover and takeover of the presidential power.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institutional transition process of th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and confirm how faithful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has been to present the national road map. This study analyzed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in two ways. First, quantitative analysis confirmed the change of the scale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through the institutional transition process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acquisition division, and the budget gradually expanded from the 14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which first started using the nam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to the 18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transition committee and the budget expanded noticeably as the legal status and authority were formulated from the 16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which enacted the Act on the Acquisition of the Presidential Sector. Second, as a qualitativ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nd the new government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oint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which was launched every five years, went to the direction of appointing a person with expertise in the selection of The 14th and 15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led by opposition leader Kim Young-sam and Kim Dae-jung, who were democratic fighters during the military dictatorship government, showed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public opinion such as selecting people in the party's check power due to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three party merger and DJP coalition. On the other hand, the 16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which enacted the Act on the Acquisition of the Presidential Sector, showed that all the members of the Acquisition Committee except the Acquisition Chairman and the Vice Chairman were composed of reform-oriented experts and faculty members. This is due not only to the strong will to reform President-elect Roh Moo-hyun, but also to the lack of political debt within the party. In the case of the 17th and 18th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s, the previous case was integrated and the integrated transition committee was composed of politicians and experts based on political judgment. Next, in order to find out how faithful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was to the blueprint work, which is the core function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the consistency and consistency between the national affairs task presented by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nd the national affairs announced after the launch of the new government were confirmed. The national affai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20% priority in order of the transition committee and the new government in each fiel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is repeated, the more the role of the transition committee to present the national affairs was expanded and stabilized. The 14th transition committee - The civilian government's matching of national affairs was 33%, the 15th transition committee - 40% of the people's government, the 16th transition committee - 60%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17th transition committee -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sidential Acquisition Committee could bring about phase change and practi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rengthening of legal status. However, although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has gradually been systematized and developed,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actual organization operation and role can be strengthened or shake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tyle of the presidential candidate. Lastly, it is regrettable that the current Moon Jae-in government, which was launched without the process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due to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due to the state farmers' incident, did not have time to prepare the new government. Even if it is impossible to realize all the national tasks prepared by the transition committee and the new government,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main policies in the official organization of the transition committee is more meaningful than the national government. It is the systemization and transparency of the national system in itself, and eventually it is a democratic state administration for the voters. Above all, it can be deeply realized that the vacancy of the state caused by the crisis of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eventually undermines the 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overnment office given by the regime change and transfer through the normal proces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damage will return to the state and the peop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