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통일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for Possibility of Peaceful Unification
- 주제(키워드) 평화통일 , 남북관계 , 선행조건 , 적대적 상호의존 , 비적대적 협력 , Peaceful unification , Inter-Korean relations , Precondition , Hostile Interdependence , Non-Antagonistic Cooper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영수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428
- UCI I804:11029-000000064428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Is it possible for Peaceful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So far,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peaceful unification, but the reality is that peaceful unification exists only as an ideal goal because it has been overemphasized in justification. As a result, discussions on the possibility of peaceful unification have not actually been properly made. The values, goals and methods of peaceful unification are universally justifiable, but focusing on realistic attainment we can't make an optimistic assessment.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e limit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recognized as a clear goal. And expanded the positive meaning of peaceful unification for closer analysis.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y comparing it with the case of unified Germany while identifying the reality of the Korean peninsula by classifying the environment as political, military, economic, interna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areas. As a result, there are factors that clearly show the limits of achieving peaceful unification in each area, and chances of overcoming them are very low.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only be achieved if the precondition of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integration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f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in a non-antagonistic relationship" are met, and such a premise is not established, it will not be able to move toward peaceful unification. When the above limits can be recognized for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stand at a starting point where they can seek a new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more초록/요약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가능한가?’ 이 글의 문제의식은 여기서 출발한다. 지금까지 평화통일과 관련된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당위성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평화통일이 이상적인 목표로만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며, 이로 인해 평화통일이 실제로 달성 가능한 목표인가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평화통일이 지향하는 가치와 목표 그리고 방법 등은 규범적으로 보편타당할 정도로 논박의 여지가 없지만, 현실적인 달성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낙관적인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한계가 명확한 목표로 인식해야 함을 주장한다. 평화통일의 경우 ‘무력분쟁의 부재’라는 소극적인 의미가 아닌, ‘구조적·문화적 폭력의 부재’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바라보고자 했다. 또한 남북한 환경을 정치·군사적, 경제적, 국제적, 사회·심리적 영역으로 분류하여 남북한의 현실을 파악하는 동시에, 통일독일의 사례와 비교해보면서 한반도의 평화통일 가능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각 영역별로 평화통일 달성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요인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극복 가능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비적대적 관계’라는 필요조건 하에서 남북한 주민의 ‘자발적인 협력’이라는 충분조건이 충족되어야 가능하며, 이러한 전제가 성립되지 못한다면 평화통일로 나아갈 수 없을 것이다. 이상의 한계를 스스로 인정할 수 있을 때, 남북관계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출발점에 설 수 있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