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상실 경험자가 지각한 정서인식 명확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 : 정서노출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cogn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for Those with Relational Loss :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Intentional Rumination
- 주제(키워드) 관계상실 , 외상후 성장 , 정서인식 , 정서노출 , 의도적 반추 , Relational Loss , Posttraumatic Growth , Emotional Perception , Emotional Self-disclosure , Intentional Rumina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400
- UCI I804:11029-00000006440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관계상실 경험을 가진 성인들의 외상후 성장 과정에서 정서인식, 정서노출, 의도적 반추가 어떻게 성장을 매개하는지를 살펴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28명의 자료를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외상후 성장에서 성차와 연령차를 확인하였다. 여성이며 나이가 많을수록 외상후 성장 수준이 높았다. 둘째, 상실대상이 친밀하고 중요할수록 상실 경험의 충격과 심각도가 높았고, 충격과 심각도가 높을수록 외상후 성장 수준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외상후 성장 과정에서 주요 변인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정서인식, 정서노출, 의도적 반추가 성장을 매개하는 주요변인이며 성장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외상후 성장 과정에서 정서적, 인지적 요인 간의 복합적인 관계와 경로를 확인하고 살펴봄으로써 관계상실을 극복하고 성장하는데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와 함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intentional rumination mediate growth in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of adults with a experience of relational los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adult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Finally, 22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gender and age were confirmed in posttraumatic growth. The gender was female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loser and more important the loss target was, the higher the shock and severity of the loss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shock and severity of the loss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Third, mediating effect of major variables in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was confirmed. Emotional perception, emotional self-disclosure, and intentional rumination are the main variables that mediate growth and the process of growth progresses sequenti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integrated view on overcoming the loss of relationships by identifying the complex relationships and pathways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in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Limitations and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