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서비스 종사자가 인식한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과업상호의존성 및 그릿의 조절효과
- 주제(키워드) 진성리더십 , 잡크래프팅 , 과업상호의존성 , 그릿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인석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341
- UCI I804:11029-000000064341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자기인식과 자기규제를 강조하는 리더의 진성리더십과 조직구성원 스스로가 일의 의미와 정체성을 추구하고자 업무, 인간관계, 인지영역에서의 변화를 꾀하는 잡크래프팅 사이의 이론적 및 실무적 연관성을 마케팅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리더의 진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잡크래프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과업상호의존성과 조직구성원의 그릿(GRIT)이라는 상황적 변수가 진성리더십의 발휘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 상황적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며 이로써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진성리더십, 잡크래프팅, 과업상호의존성, 그릿 등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및 가설을 수립하였다.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종업원 1,000명 이상 규모의 대기업 마케팅 부서 근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280부의 설문조사응답을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유효한 응답 266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검증 결과,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리더의 진성리더십은 과업영역, 인지영역, 관계영역 변경의 세 가지 잡크래프팅 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과업상호의존성을 높게 인식한 집단에서 세 가지 잡크래프팅 행동에 모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업상호의존성을 낮게 인식한 집단에서는 잡크래프팅의 유형 중 인지영역 및 관계영역 변경 행동에서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그릿 중 첫 번째 하위요인인 노력지속의 경우, 노력지속이 높은 집단에서는 세 가지 잡크래프팅 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노력지속 집단에서는 과업영역과 인지영역에만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구성원이 높은 노력지속의 특성을 지닐 경우 진성리더십이 관계영역 잡크래프팅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릿의 두 번째 하위요인인 흥미유지가 높은 집단에서는 세 가지 잡크래프팅 행동이 모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흥미유지 집단에서는 인지영역과 관계영역에만 의미있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구성원이 높은 흥미유지의 특성을 지닐 경우 진성리더십이 과업영역 잡크래프팅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잡크래프팅 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는 점, 조직유효성의 선행 지표가 되는 잡크래프팅을 연구의 결과변수로 고려하여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진성리더십과 잡크래프팅의 실무적 중요성이 강조되는 마케팅서비스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더불어,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잘 다뤄지지 않았던 업무 특성(과업상호의존성)과 개인 특성(그릿)을 리더십의 효과성을 조절하는 요인으로 제시하며 상황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함께 제고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