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ature Inheritance of the Definiteness Feature
한정성 연구: 자질 상속 모델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feature inheritance , DP , KP , definiteness , specificity , the , this , ku , 자질 상속 , 한정사 구 , 격조사 구 , 한정성 , 특정성 , the , this , 그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Michael Jonathan Mathew Barrie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325
- UCI I804:11029-000000064325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syntactic analysis on (in)definiteness interpretation of English determiner the, adjectival demonstrative this, and Korean adjectival demonstrative ku, within the KP/DP feature inheritance model which is designed as a derivation of Chomsky (2005, 2008)’s CP/TP feature inheritance framework. Although there have been interesting discussions in identifying the indefinite non-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determiner the (Carlson and Sussman 2005; Carlson et al. 2006), the indefinite specific reading of the adjectival demonstrative this in English (Prince 1981; Maclaran 1982; Berstein 1997; Ionin 2006), and the indefinite non-specific interpretation of the adjectival demonstrative ku in Korean (Kang 2018), the detailed syntactic analysis investigating how (in)definite readings of the lexical items is derived is still called for. Accordingly, in this thesis, from a syntactic perspective, I delve into the (in)definiteness interpretation of the, this, and ku, and propose that the definiteness is a derived feature that is inherited from K to D under the KP/DP feature inheritance model. The model is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parallelism between clausal and nominal domain (i.e., C≈K, D≈T) and accommodates two distinctive K heads of (i) complete K and (ii) defective K and three principles of (i) obligatoriness, (ii) selectiveness, and (iii) non-expiration. Ultimately, this model would enable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unsettled property of definiteness and D, and an interplay between D and K, which have been widely reported and discussed across languages in the literature.
more초록/요약
본고는 격조사 구/한정사 구 자질 상속 모델을 중심으로 영어의 한정사 the (Carlson and Sussman 2005; Carlson et al. 2006), 지시 형용사 this (Prince 1981; Maclaran 1982; Berstein 1997; Ionin 2006), 한국어의 지시 형용사 그 (Kang 2018)의 (비)한정적 해석에 대한 통사적 분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조사 구/한정사 구 자질 상속 모델은 Chomsky (2005, 2008)의 보문사 구/시제 구 자질 상속 모델로부터 파생하였으며, 절과 명사 영역 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새롭게 고안된 모델이다. 이 모델은 두 종류의 격조사 핵((i) 완전 (ii) 결함) 및 세 가지 원리((i) 의무 (ii) 선택 (iii) 비소멸)를 특징으로 한다. 본고는 이러한 명사 기능 범주 간의 자질 상속 모델을 통하여 the, this, 그의 (비)한정적 해석에 대한 통사적 분석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한정성이 격조사 핵에서 한정성 핵으로 상속되는 파생적 자질임을 주장한다. 나아가 본고에서 제안된 격조사 구/한정사 구 자질 상속 모델은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어온 한정성와 한정사 구의 불안정한 의미적, 통사적 지위 및 한정사 핵과 격조사 핵 간의 상호 작용 등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