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position Use in Lexical Bundl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riting
한국 대학생 작문 속 어휘다발에 나타난 전치사 사용분석
- 주제(키워드) Lexical bundles , Prepositions , Preposition use patterns , L2 writers , Accuracy , Academic writing , Prepositional phrase based bundle (PP-based bundle) , Korean students , Preposition errors , 어휘다발 , 전치사 , 학술적 글쓰기 , 전치사구 기반 어휘다발 , 한국인 학생 , 전치사 오류 , 전치사 사용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유원호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영어영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276
- UCI I804:11029-000000064276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positions embedded in lexical bundles of the writing corpus of Korean college incoming students. Prepositions are one of the difficult grammar points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o use perfectly,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preposition uses in a multi word sequen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four word prepositional phrase based (PP-based) bundles, the bundles with preposition on the front of each bundle, to examine the preposition uses in lexical bundles. The learner corpus consisted of 604,008 words, containing writing samples of 2,130 students, was used for the examination of frequency of PP-based bundles. PP-based bundles were extracted using Free CLAWS tagging program, and cluster function was used in AntConc to sort the bundles containing preposition in front of the bundles. Before analyzing the preposition errors in the bundles, frequently used four word PP-based bundles were extrac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core expression extraction method (Shin, 2018; Shin et al., 2018). After the extraction of frequently used four word PP-based bundles in the learner corpus, the frequent bundles of learn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writers that generally occurred in academic register in Biber et al. (1999). Considering the genre difference of two corpora, th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learners lack PP-based bundle tokens and types that show a characteristic of academic prose and a pattern of repeated use of few lexical bundles. On the basis of four word PP-based bundles often used in the learner corpus, errors of preposition us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omission, addition and misuse. The analysis on preposition errors showed an error rate of approximately 7.13% in 13 bundle types. More than 70% of errors were in the type of misuse, and the lexical bundles with certain words showed a high error rate. Drawing on the result of the used patterns of PP-based bundles and preposition errors in those bundles, this research included some suggestions on classroom materials and future research topics that use PP-based lexical bundles.
more초록/요약
본 논문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학교 신입생들의 첫 학기 영어수업 배치고사의 일환으로 작성한 영작문에 나타난 어휘다발 속의 전치사 사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전치사는 한국인 학생들에게 관사와 함께 완벽하게 사용하기 가장 어렵다고 논해진다. 몇몇 선행연구에서 말뭉치 분석을 통해 한국인 학생의 전치사 사용 오류에 대해 연구한 바 있지만, 어휘다발 속 전치사 사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개 이상의 연속된 단어가 하나의 개체를 이루는 어휘다발 (lexical bundle) 중 전치사가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전치사구를 기반한 네 단어 어휘다발에 초점을 맞춰 전치사 사용을 분석하였다. 단어에 품사를 붙여주는 태깅 프로그램, AntConc의 클러스터 기능과 어휘다발에서 핵심단어를 추출하여 검색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604,008 단어의 말뭉치에서 전치사구 기반 어휘다발을 추출하였다. 전치사 오류를 분석하기에 앞서, 한국인 학생들이 자주 사용한 전치사 기반 어휘다발을 먼저 추출하여 사용패턴을 분석하였다. 이후 Biber et al. (1999)에 나타난 원어민의 학술적 글쓰기 말뭉치에 자주 사용된 전치사구 다발과 비교하였다. 학습자 코퍼스의 논쟁적 글쓰기 장르특성을 고려해도, 상대적으로 학술적 글쓰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어휘다발의 적은 양과 횟수가 사용되었고, 몇 종류의 어휘다발을 반복해서 사용하는 양상을 발견했다. 자주 사용된 전치사구 기반 어휘다발의 빈도를 기반으로 해당 어휘다발 속에서 약 7.13%의 전치사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지(생략, 첨가, 오용) 오류유형 중 70% 정도의 오류가 잘못된 전치사를 올바른 전치사 대신 사용한 오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기존의 전치사 연구와 달리 전치사 오용의 오류가 높게 나타났고, 특정 단어를 포함한 어휘다발의 오류가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치사구 기반 어휘다발의 사용특성과 전치사오류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 실제 교실에서 전치사 교수 시 적용해 볼 수 있는 어휘다발 기반의 전치사 수업자료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