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에르케고어의 ‘단독자’와 '종교성' 개념분석을 통한 참된 인간상 연구 : 영원한 사랑을 실천하는 실존적 인간에 대한 고찰
A True man study to analyze Kierkegaard's concepts of 'The Single Individual' and 'Religiosity'
- 주제(키워드) 실존철학 , 키에르케고어 , 단독자 , 종교성 , 영원한 사랑 , 참된 인간 , Existential philosophy , Kierkegaard , The Single Individual , Religiosity , Eternal Love , True ma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병준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265
- UCI I804:11029-00000006426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키에르케고어의 '단독자'와 '종교성'개념 탐구를 통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실존론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가 그의 참된 인간상을 현대에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철학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인간이 존재하는 한 영원히 그들 스스로를 고민하도록 만드는 존재적 물음이다. 이 물음은 따라서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물음이 될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의 철학을 탐구하는 이유는 그의 철학 역시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인간학을 넘어 철학의 영원한 물음의 선상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신 앞에 선 단독자' 개념으로 대표되는 그의 실존철학은 인간을 자기실현을 사명으로 가진 실존적 존재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의 사명인 자기실현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키에르케고어에 따르면, 인간은 영원과 시간의 종합인 순간 속에 살며,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 종합적 정신으로서의 자신을 주체적으로 실현하는 존재이다. 이 종합적 정신을 실현함이 바로 참된 자기를 실현함이며,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함이다. 그리고 이것이 그가 주장하는 참된 실존의 의미이다. 그러나 인간은 스스로의 능력만으로는 자유롭고 주체적인 자기를 실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유의 가능성이외에도 이를 제한하는 필연성에 의해 자신의 가능성을 제한받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에르케고어에 따르면, 이러한 대립되는 요소들의 긴장 속에서 인간은 이들의 조화로운 관계종합을 통해 자기를 실현해야하는 실존적 상황에 놓인 존재가 된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스스로의 능력으로 종합적 정신의 관계설정을 온전하게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그들이 보편적이라고 여기는 근거, 이를테면 도덕법칙들과 같은 근거로는 그들 스스로를 참되게 실현할 수 없다. 키에르케고어에 따르면 이것은 오로지 절대적인 존재와의 관계맺음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의 자신을 실현할 때 비로소 자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의 자기실현이 인간의 삶에서 언제나 쉬이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존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인간에게는 언제나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는 인간이 처한 실존적 상황에 기인한 것이다. 키에르케고어가 불안과 절망이라고 부르는, 무한한 자유를 필연성 속에서 실현해야하는 인간이 느끼는 현기증과 그로 인해 잘못된 관계맺음의 상황들은 인간이면 누구나 마주서게 될 피할 수 없는 것들이다. 이것은 각각 죄성과 죄를 함축하는 개념들로써 인간은 불안과 절망을 통해 자신의 최대의 비참에 빠질 수 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어는 오히려 불안과 절망 속에서 인간이 그의 가능성을 그 누구에게도 기대지 말고 오로지 믿음이라는 내면의 진지성을 통해, 가장 절대적인 존재인 신과의 관계를 맺어야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단독자'는 마침내 믿음이라는 무한자와의 관계방식을 통해 신 앞에 섰을 때, 자기실현을 도모할 수 있다. 필연성 속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할 때, 이에 대한 다짐을 하고 그대로 지속하는 데에는 매우 강한 정열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열은 오로지 절대적 존재 앞에서의 엄숙하고 진지한 다짐 안에서만 강화될 수 있는데, 이것이 믿음 소위 신앙의 의미이다. 이 때, 이 다짐은 어떠한 도덕규범이나 인간이 보편적이라고 생각하는 범주들에 의해 규정되지 아니하는 인간 자신이 스스로 '단독자'로서 결단해야하는 것이다. 그리고 절대적 존재인 하느님 앞에서 가장 강력하게 강화된 정열이 바로 '종교성'이다. 이를 통해 강화된 '종교성'을 실현하는 단독자의 모습이 바로 ‘신앙의 기사’이며 키에르케고어의 참된 인간이 걸어야 할 모습으로 표현된다. 흔히 종교적 실존으로 서술되는 ‘신앙의 기사’는 그 의미를 명확히 규정하는데 난해하지만, 본고는 그의 주요 저작들을 참고하고 이를 분석하여 그를 이루는 핵심인 '종교성 A'와 '종교성 B'의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키에르케고어가 바라보는 '참된 인간'의 모습은 흐르는 시간 속에 담겨진 영원의 순간들이 반복되는 삶 속에서 그 자신의 '영원한 사랑'을 자신의 진정한 교사인 그리스도와 같이 살겠다고 신 앞에서 스스로 결단하여 실천하는 '실존적 인간'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고의 이와 같은 논증들은 현대에도 여전히 자신은 누구이고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라는 고민을 하는 사람들에게 그 답의 한 방향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what is a human-being' in an existential perspective by analyzing Kierkegaard's concepts of 'The Single Individual' and 'Religiosity'. and here go a step further and aims to apply his true human to modern times. As we can see from an overview of philosophical history, the question of 'what is a human being' is an existential question that causes people to worry forever as long as humans exist. This question ,therefore, would still be a valid question in modern times, The reason for studying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is that his philosophy is also on the line of the eternal question of philosophy beyond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what is a human being'. His existential philosophy,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The Single Individual stand before God', recognizes a human-being as an existential being with self-fulfillment as a mission. His existential philosophy,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The Single Individual stand before God', recognizes that a human-being is an existential being having a mission of self-fulfillment. And it has a goal to reveal specifically what this self-fulfillment of human mission means. According to Kierkegaard, human beings live in a moment that is a synthesis of eternity and time, and they realize themselves as a synthesis sprit through free decision. Realizing this synthesis sprit is realizing true self and realizing its possibility. And this is the meaning of the true existence that he claims. But human beings can not realize their free and subjective self by their own abilities. This is because human beings are limited in their possibilities by the inevitability of restricting them. Thus, according to Kierkegaard, in the tension of these conflicting elements, humans are in an existential situation in which they must realize themselves through their harmonious relationship. Also, as I have said, human beings can not truly realize themselves on the basis of what they consider universal, such as moral laws, because human beings are not abl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a synthesis sprit with their own. According to Kierkegaard, this can only be realiz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an absolute being, God. Therefore, human beings only can realize true themselves when they realizes themselves as 'The Single Individual' stand before God. However, this process, self-realization as 'The Single Individual' stand before God, is not always easy in human lif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existence described above, there is always a difficulty for human beings. This is due to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 beings. The dizziness and thereby the situations of the disrelationship felt by human beings to realize infinite freedom in the inevitability that Kierkegaard calls anxiety and despair, are inevitable things that human face. This is concepts that implies sin and sin's possibility, respectively, and man can fall into his greatest misery through anxiety and despair. However, Kierkegaard argues that through anxiety and despair, human beings must discover their possibility and realize this possibility through the inner sincerity of the relationship with God, the most absolute being. Therefore, 'The Single Individual' can finally achieve self-realization when he stands before Go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faith with the Infinite. When Human beings realize their possibility in inevitability, they need a very strong passion to make their commitment and persistence, and this passion can only be strengthened within the solemn and serious commitment to absolute existence. This is the meaning of faith. At this time, the pledge is that human beings themselves, who are not defined by any moral norms or categories that humans consider universal, should make their own decisions as 'The Single Individual'. And 'Religiosity' is the most strongly enriched passion before God, the absolute being. The figure of 'The Single Individual' who realizes strengthened his 'Religiosity' through this is 'Knight of Faith' and is expressed as a true human being Kierkegaard argue. The 'Knight of Faith', often described as a religious existence, is difficult to articulate its meaning clearly. In this paper, I will try to clarify its meaning through analysis of 'Religiosity A' and 'Religiosity B', which are the core of his work by analyzing and analyzing his main works. Through this, I argue that human being who Kierkegaard define is an existential human being who live at the eternal repetition of moments that are contained in the flowing time in a life. and I argue that Kierkegaard's true man will make his own life practice 'Eternal Love' like Christ, his true teacher, I also would argue that it is an true existential human being In conclusion, these arguments in this article will present one direction to those who still contemplate who they are and how they should liv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