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족주의(Tribalism) 관점에서 본 자발적 네트워크의 연대 과정 : 연극계 페이스북그룹‘대학로X포럼’사례 분석

초록/요약

부족주의(Tribalism) 관점에서 본 자발적 네트워크의 연대 과정 : 연극계 페이스북그룹 ‘대학로X포럼’ 사례 분석 본 연구는 전통적 공동체와는 달리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수평적이며 자발적인 그리고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는 집단과 그 연대의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집단의 연대적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며 어떤 경로를 거쳐 집단의 형태를 만들게 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연극계 페이스북그룹 ‘대학로X포럼’을 사례 분석하였다. 이 사례 분석은 기존의 제도나 조직의 대안으로 새롭게 등장한 집단의 변화와 새로운 연대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대학로X포럼’은 수평적 네트워크, 자발적 연대를 표방하면서 연극계 현안에 대한 문제 제기와 담론을 공유하는 집단이다. 기존의 연극계 조직이나 제도를 거부하면서 자발적이고 일시적인 모임에서 출발하였는데, 유동적인 결집과 분산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관찰된다. 이 사례 분석을 통하여 한 집단의 생성과 결속, 갈등과 분산의 과정,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한 연대의 파생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경험 자료로 수집하였고, 효용론적 판단에 기초한 선행연구들이 간과하였던 체험의 다차원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미셸 마페졸리(Michel Maffesoli)의 ‘신부족주의(neo-tribalism)’를 토대로 집단의 유기적 관점 아래 이 사례에 접근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구성원들의 결집 동기(動機)가 개인의 이해관계나 저항이라는 목적의식보다 근접성과 정감적인 것, 그리고 ‘함께 하기’ 그 자체에 대한 지향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의례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을 통한 매개적 상호작용 의례와 포럼·시위·퍼포먼스 등의 적극적 의례가 상호보완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의례는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의 집합의식을 고양시키고, 이렇게 고양된 집합의식은 구성원들이 공통의 가치를 추구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결집 이후 집단 안에서 갈등과 분산 과정을 거치더라도 이것이 곧바로 공동체의 실패나 상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연대의 재연결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후발 그룹들에 대한 연결망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대학로X포럼’ 사례 분석은 신부족이 사회적·역사적 맥락과 만나 운동의 직접적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일회적이고 유동적인 ‘대학로X포럼’의 결집과 연대는 의례를 통해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의 미학적 윤리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실천하고 주권을 창출할 수 있는 순간을 만들었다. 이렇게 형성된 미학적 윤리와 실천의 경험은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이슈에 참여할 수 있는 동력을 형성하게 된 배경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로 일상적 차원에서의 관계 맺기가 운동이나 저항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인과론이나 효용론적 판단 아래 배제해왔던 연대의 변화 양상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공동체 논의나 사회운동론에서는 설명할 수 없었던 갈등과 분산 이후 연대의 재연결·재구성 과정에 주목할 때, ‘신부족주의’를 앞으로의 이론적 전망으로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개인들이 집단주의로 함몰되지 않으면서, 연결과 분산을 반복하며 그 자체로 살아있는 연대성을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있다.

more

초록/요약

Solidarity Process of Voluntary Net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ribalism : Case Analysis on ‘Daehak-ro X Forum’, a Facebook Group for Theater Scene This study analyzes groups pursuing horizontal, voluntary, and loose solidarity unlike traditional communities, and their recent trend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solidarity of these groups is formed and how they are shaped into groups, the study analyzes Facebook group for the theater scene, ‘Daehak-ro X Forum.’ This case study shows changes of new emerging groups and aspects of new solidarity in more detail as alternatives to exist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e ‘Daehak-ro X Forum’ is a group that shares questions and discourses about issues facing the theater scene while seeking horizontal network and voluntary solidarity. It started from a voluntary and temporary gathering while refusing the existing theater structure or system characterized by flexible gathering and dispersion. Through this case study, it is discovered the formation and solidarity of a group, the process of conflict and dispersion, and the derivation of solidarity through network. This study gathered data on in-depth interviews with members of ‘Daehak-ro X Forum’ and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multi-dimensionality of experience that previous research based on pragmatic views had overlooked. Based on the ‘neo-tribalism’ of Michel Maffesoli, this approach has been taken from a group's organic point of view. Through this approach, it i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members' mobilization are consisted of the proximity, the sensitivity, and the “being-together” rather than the individual's interest or resis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tuals performed by members of the ‘Daehak-ro X Forum,’ it is found that active rituals such as forums, demonstrations, and performances and meditating interaction rituals through Facebook were regarded as complementary and intertwin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itual enhance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the ‘Daehak-ro X Forum,’ and this elevated collective consciousness is the foundation on which members pursue common valu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network of following groups shows that even conflict and decentralization within the group after the gathering, it does not end with the failure or loss of the community. It leads to another solidarity. Especially, the case study of ‘Daehak-ro X Forum’ empirically shows how new tribe meet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becomes the direct subject of the movement. The gathering and solidarity of the one-time, flexible ‘Daehak-ro X Forum’ has created a moment for each member to demonstrate their own values ​​and create sovereignty by having their own aesthetic ethics. The aesthetic ethics and practical experiences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participation in emerging issues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in everyday life is the basis of movement or resist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of change of solidarity that had been ruled out under rational causationism or practical judgement.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reconnecting and reconstruction of solidarity after conflict and decentralization that can not be explained in existing community, we can assume ‘neo-tribalism’ as the futur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finds that various individuals in contemporary society have practiced solidarity by repeating connection and dispersion without falling into collectivis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