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가위 영화의 스크린 공간 분석 : 신체, 패션,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ScreenSpace in Wong Kar-wai's Films : Body, Fashion and Decoration
- 주제(키워드) 홍콩영화 , 왕가위 , 미장센 , 패션 , 노스탤지어 , 포스트모더니즘 , 리좀 , Hong Kong film , Wong Kar-wai , mise-en-scène , fashion , nostalgia , post-modernism , Rhizom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홍지순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중국문화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153
- UCI I804:11029-00000006415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홍콩 영화의 황금기인 1980년대에 많은 감독들은 메이저 스튜디오와 각본가의 대본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왕가위 감독은 자신이 쓴 각본과 그만의 미학을 반영한 <열혈남아 旺角卡门, 1988>로 데뷔하여 ‘왕가위 스타일’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그만의 시그니처 스타일을 만들었고, 홍콩 영화의 2세대 뉴 웨이브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떠올랐다. ‘왕가위 스타일’이라고 부를 수 있는 대표적인 특징은 그만의 독특한 미장센이라고 할 수 있다. 왕가위의 미장센에 대한 분석은 이미 다방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왕가위 영화 속 소품이 특정한 상징이 된다는 기호학적 측면의 연구가 하나의 주류를 이루었고, 그를 포스트모더니스트로 상정하고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또 하나의 주류를 이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론과 연계하여 왕가위 영화가 배경, 소품, 인물이 분리되지 않는 특별한 비주얼 패브릭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미장센을 형성한다고 보고 이에 주목하였다. 다만 프레임 속 미장센을 중심으로 음악의 사용, 편집, 카메라 앵글 등 보다 포괄적인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미장센이 라는 용어 대신 ‘스크린 공간’이라는 제목을 붙여 왕가위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제 2장에서는 클로즈업 되는 몸통, 다리와 같은 특정 신체 부위가 형성하는 리좀과 몸짓이 만들어내는 리듬을 분석하였다. 또한, 얼굴 클로즈업의 예술성과 상업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영화 캐릭터의 변화하는 메이크업을 통해 형성되는 여성성 만들기의 과정과 할리우드 글래머를 연상시키는 스타구조에서 비롯되는 상업성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Giuliana Bruno의 의복 이론(sartorial theorization)을 중심으로 <화양연화 花样年华, 2000>, <2046, 2004>, <에로스 爱神, 2004>에서 패션이 소품, 배경과 일체를 이루며 비주얼 패브릭으로 패션화(fashioning)되는 미학을 분석하였다. 패션과 더불어 패션, 소품, 배경과 조화를 이루며 비주얼 패브릭을 구성하는 액세서리와 디테일을 분석하였다. 또한, 꽃이나 신발, 손목시계처럼 페티시즘의 대상이 되는 소품을 분석 하였다. 제4장에서는 왕가위 영화에서 비주얼 패브릭을 형성하는 또다른 요소인 인테리어와 일상생활 소품을 분석하였다. 노스탤지어에 초점을 맞추어 일상생활 소품과 음식을 분석하였고, 음식은 섹슈얼한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나르시시즘과 연결하여 반사 성질을 가진 소품인 거울을 분석하였고, 인테리어가 보여주는 인물의 부재와 상실감의 텅 빈 비주얼을 애도와 우울로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more초록/요약
In the 1980s, the golden age of Hong Kong cinema, many directors made films from major studios and script writers. Wong Kar-Wai made his debut in 1988 with the film <As Tears Go By 旺角卡门, 1988>. He reflected his writing and aesthetics of his own style, and created a signature style that could be called "Wong Kar-Wai style" and emerged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second generation New Wave in Hong Kong film. A typical feature that can be called 'Wong Kar-Wai style' is its unique mise-en-scène. Analysis of his mise-en-scène has already been studied in many ways. One major mainstream study of the semiotic aspect is that the props in Wong Kar-Wai's film become a specific symbol. Another mainstream is an attempt to associate him with postmodernism as a postmodernist. In this paper, in connection with the postmodern theory, it is noted that the Wong Kar-Wai’s film forms a special visual fabric that does not separate the background, props and figures. However, in order to attempt more comprehensive analysis such as the use of music, editing, camera angle and the miseen-scène in the frame, it was titled ' Screen Space ' instead of the word 'mise-en-scène'. In Chapter 2, I analyzed the rhythm produced by the gestures and Rhizome formed by specific body parts such as the body and legs, which are close-ups. And analyzed the artistic and commercial aspects of face close-ups.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cuses on the process of making femininity through the changing make up of film characters and the commerciality derived from the star structure reminiscent of Hollywood glamor. In Chapter 3, Fashion is integrated with props and backgrounds in the context of Giuliana Bruno's sartorial theorization, and analyze aesthetics of fashioning with visual fabric in <In The Mood For Love 花样年华, 2000>, <Eros 爱神, 2004> and <2046, 2004>. In addition, I have analyzed accessories and details that make up visual fabric in harmony with fashion, prop, and background. Fetishism items such as flowers, shoes and wristwatches were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Chapter 4 analyzes the interior and daily life props as another element that forms the visual fabric in Wong Kar-Wai films. Focusing on nostalgia, I have analyzed the daily life props and food, and the food also forms a sexual atmosphere. Also, I have analyzed the mirror which reflects object in connection with narcissism. Moreover, I have analyzed absence of character and empty visual of loss from the interior design in conjunction with mourning and melancho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