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활성화에 관한 연구:SM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Activation of CSV in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Focused on SM Entertainment

초록/요약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사회 제반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제위기 등으로 인한 경제 성장 둔화와 거대 자본 기업의 포화 상태 속에서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공유가치창출(CSV) 관점에서의 실무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연예 매니지먼트 산업 군에서는 기업이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동시에 사회 속에서 장기적으로 성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공유가치창출 관점에서의 경영 목표를 설립하는 게 무엇보다 요구되는 바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유가치창출의 개념 고찰과 국내 대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지향 사업 사례를 고찰을 통해 연예 매니지먼트에 맞는 공유가치창출 전략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가장 큰 규모의 SM엔터테인먼트사를 조사 대상으로 하여 이론적 고찰 및 서면 인터뷰를 바탕으로 SM사의 경쟁 우위 사업 환경을 분석한 뒤 실현 가능한 공유가치창출 사업 전략을 세 가지 제안하였다. 전략은 첫째, 케이블 방송 채널 확보 및 지역 연예인 활성화이다. 케이블 방송 채널을 확보 또는 설립하여 SM엔터테인먼트의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소속 아티스트의 출연을 전속으로 하는 방송 프로그램 전략으로 방송 채널을 확보하고 각 지역마다 지역 연예인을 두어 활동하게 함으로써 지역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스타 의존성을 완화시켜 제작 스태프들에 대한 처우를 개선시키기를 기대하는 전략이다. 둘째, 연예인 불공정 계약 관련 콘텐츠 제작이다. 음악을 활용하여 아티스트의 기획사와의 공정한 계약을 지향하는 내용을 담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회사 복합 문화 공간을 활용하여 공정한 계약 관계에 대한 교육용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소비자에게 알리는 전략이다. 셋째, 콘서트에서 나아가 페스티벌로 공연 문화를 확장시키는 전략이다. 콘서트에 국한되어 있는 공연 현상을 뮤직 페스티벌로 확장하여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비자에게 문화 향휴의 기회를 풍부히 하여 사회적 가치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또한 아티스트 관련 굿즈와 요식업 등 행사가 유발하는 부가 사업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국내 연예매니지먼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목표 부재와 이에 따른 개념 정립이 시급한 상황에서 대중문화예술 산업군의 공유가치창출 지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안하였다는 것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사업 전략을 제안한 것은 대중 문화 콘텐츠 사업을 시작하는 소규모 기업에게도 인사이트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관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실무적 의의와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는 연예 매니지먼트사의 공유가치창출 효과 및 기업 성과에 대한 정량적 평가의 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기업형 기업 중심이 아닌 보다 넓고 다양한 시각으로 대중문화예술 산업군에서 공유가치창출 사업 사례를 다각도로 제안할 것을 향후 연구과제로 제시한다.. 핵심어: 공유가치창출, 연예 매니지먼트, 대중문화에술, 전략 제안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