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차별 인식에 대한 남녀 및 세대 간 차이: : 차별 정보 제시의 역효과
- 주제(키워드) 차별 지각 , 성차별 , 성차 , 세대차 , 성평등 ,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 gender discrimination , gender difference , generation difference , gender equality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나진경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142
- UCI I804:11029-00000006414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지난 2016년 ‘강남역 살인 사건’ 이후 한국 사회는 성차별에 대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행정부는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여 젠더폭력방지법을 제정하고자 그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혐오 표현의 과도한 사용 등 남녀 간의 대립 현상도 존재한다. 이러한 성별 갈등은 역차별 논쟁으로도 이어지며 젊은 세대에서 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로도 젊은 세대의 남녀들이 차별과 관련된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이든 세대에 비해 한국 사회에서 남녀가 겪고 있는 차별에 대해 더 큰 인식 격차를 보이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27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1의 결과, 성별, 연령대와 각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 정도에 대한 인식 간에 삼원 상호작용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남성은 연령과 상관없이 여성에 비해 남성이 받는 차별의 정도는 높게, 여성이 받는 차별의 정도는 낮게 응답하였다. 또한, 젊은 남녀는 나이든 남녀에 비해 각기 자신이 속한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를 높게, 반대되는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를 낮게 응답하였다. 즉, 한국 사회에서 각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에 대한 남녀 간 인식 차이는 나이든 세대에 비해 젊은 세대에서 그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 때, 20대 남성 집단은 20대 여성, 50대 남성과 여성 집단과 달리 유일하게 남성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를 여성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보다 높게 응답하였다. 때문에 연구 2에 앞서 예비조사를 통해 젊은 20대 남녀가 한국 사회에서 각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이 무엇이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탐사해보았다. 그 결과, 20대 남성들이 여성들이 받고 있는 차별의 항목에 무엇이 있는지 모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여성들이 받고 있는 차별의 심각성을 낮게 인식함과 동시에 남성들 또한 차별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젊은 남녀가 차별에 대한 정보에 자주 노출 되는 것이 성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20대 남녀 5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2의 결과, 성별, 조건과 피험자의 남성과 여성 각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정도에 대한 인식 간에 삼원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20대 남녀의 각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에 대한 인식 격차는 차별에 대한 정보가 제시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연구 1에서의 남녀 간 격차는 연구 2에서도 동이하게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재 한국 사회에서 성차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은 젊은 세대로 하여금 반대되는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는 낮게 인식하고, 본인의 성별이 받고 있는 차별의 정도를 높게 인식하게 하여 남녀 간에 인식의 격차를 더 넓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이 잘 정립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남녀 간의 합의가 기반이 되어야한다. 그러므로 추후에는 성별에 기초한 이중 경로를 설정하여, 차별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경로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개인 혹은 집단행동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을지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설립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After homicide at the Gangnam Station in 2016, Korea has striven for resolving gender violence. At the same time, especially among young adults, gender conflict became severe. Hence, the goal of two studies is examining the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in perceiving gender based discrimination. In study 1, 278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how much they thought females and also males were discriminated against on a 7-point scale ranging from 1 (not at all) to 7 (extremely). We found an age × gender interaction e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gainst males as well as against females. Specifically, younger females were more likely than older females to believe that females were discriminated against. However,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among males. Moreover, younger males felt that males were more discriminated against than females. To explore the interaction effect from a different angle, we found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younger males and female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about gender discrimination, whereas older adults did not show such differences. Study 2 tested our hypothesis regarding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young adults observed in Study 1.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presenting discriminative information may have an adverse effect by widening the gap. The results showed an gender × condition interaction e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against males as well as against females. The difference between younger males and female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about gender discrimination was found as Study 1. In addition, the difference was bigger when discriminative information was presented than was not. To implement policy successfully, general social consent should be preceded. Howev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t an agreement regarding the gender discrimin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Moreover, it is worsen by exposing discriminative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regarding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