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서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
The Undesired Self-discrepanc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 주제(키워드) 취약성 자기애 , 내면화된 수치심 , 자기불일치 이론 , 원하지 않는 자기 , Vulnerable Narcissism , Internalized Shame , Self-Discrepancy Theory(SDT) , Undesired Self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재홍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135
- UCI I804:11029-00000006413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그동안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는 자기지표로서 주목받지 못해 왔던 원하지 않는 자기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취약성 자기애의 양분된 내적구조에서 자기불일치의 존재를 예측하고 자기불일치가 취약성 자기애의 병리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치심은 이상적 자기불일치와 원하지 않은 자기불일치로 인해 발생한다는 주장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자기애가 이상적 자기불일치 혹은 원하지 않은 자기불일치를 거쳐서 취약성 자기애의 중요한 부적응 정서인 수치심을 가지게 되는지 확인하였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330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PNI), 통합적 자기불일치 지수(ISDI),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를 실시하였다. SPSS 18.0로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AMOS 20.0을 이용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 후 Sobel 검증까지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 이상적, 당위적 자기불일치는 서로 정적 상관을,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는 다른 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에서 이상적 및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취약성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관계에 대한 이상적 자기불일치와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적 자기불일치와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가 동시에 매개하는 구조모형에서 각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Sobel 검증으로 확인하였을 때 이상적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만 유의하였다. 취약성 자기애는 이상적 자기불일치보다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을 가지게 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로써 취약성 자기애와 자기불일치의 관계를 검증하고, 취약성 자기애가 병리를 가지는 과정에 대한 원하지 않는 자기불일치의 역할에 주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학문적·치료적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undesired self which has long been unnoticed as a self-guide that instigates negative emotions, to verify the prediction the existence of self-discrepancy within the dichotomous internal structure of vulnerable narcissism and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pathological affect of vulnerable narcissism. Based on the argument that shame originates from ideal self-discrepancy and undesired self-discrepancy, this study has verified if the vulnerable narcissism causes shame, an important maladaptive emotion of vulnerable narcissism,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ideal self-discrepancy or undesired self-discrepancy. For this, the study has conducted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Integrated Self-Discrepancy Index(ISDI), and Internalized Shame Scale(ISS) on 330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8 years or above. The study has also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as well 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0.0, followed by Sobel test. A series of analyses have found that the vulnerable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ideal self-discrepancy and ought self-discrepancy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that undesired self-discrepanc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other variables. Next, the ideal and undesired self-discrepan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internalized shame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internalized shame. Finally, the Sobel test intend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levant variables in the structure model mediated by both ideal and undesired self-discrepancies has confirmed the absence of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ideal self-discrepancy and the presence of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he undesired self-discrepancy. In conclusion,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vulnerable narcissism leads to internalized shame through the undesired self-discrepancy rather than the ideal self-discrepancy, which verifies the rel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self-discrepancies and paves the way for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ole of undesired self-discrepancy in the process of vulnerable narcissism developing into psychological pathology. The study has concluded with the academ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