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 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 of Parents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Usage: Focusing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Smartphone's Effectiveness in Their Learning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 on young children's smartphone usage, particularly examining that on children's overindulgence on smartphone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smartphone for learning. The study found that the use of smartphone has shown divided results of overindulgence and learning in children which are respectively a negative impact and a positive impact of the usage.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from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ere used in concluding the analysis and were answered by parents and homeroom teachers o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2 and 6 years who attend the institution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to explor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ke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young children's use of smartphone, it was found that children mostly use smartphones 1-2 days per week(81 responses, 36%). The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was below 90 minutes(66 responses, 29.3%), less than 20-40 minutes a time (88 responses, 39.1%). For the purpose of smartphone usage surveyed with multiple responses, an overwhelming majority(187 responses, 68.2%) answered video viewing. Time(39.7%) was the most employed regulatory element by parents, and parents ranked fun and excitement(166 responses, 64.8%) as the reason for their children's use of smartphone. Second, most parents spent less than 60-180 minutes per day on smartphone on average(103 responses, 45.8%) and the leading activity on the device was social media (143 responses, 27.8%) and online search(141 responses, 27.4%).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answered they allow their children to use smartphone because the children want to use it (42.2%) and to ensure the parents' free time(33.8%). The contents they mainly show their children are animated videos(130 responses, 38.2%), and the frequency of using smartphones with children was 1-2 times a week (48%). Parents tend to think that young children need to use smartphones(60.4%) despite their belief that there lacks adequate contents to use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49.8%). Learning(38.8%) and following the trend of the time(36.1%) were the most necessary reasons for the children's use of smartphone. As to why children do not need smartphones, on the contrary, they mainly accounted the concern about electromagnetic waves(31.5%) and the possible access to inappropriate web sites(28.9%). Thir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fluence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have on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overindulgence on smartphone are as follows. The overall mean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st at 4.04 (SD=.56) and average of reasonable parental guidance was 4.18 (SD=.43). In analyzing parental smartphone usage pattern, questions which used scaling to examine parental media mediation found negative mediation at the highest with 3.77 (SD=.77), positive mediation at 2.98 (SD=.67) and negligence at 1.77 (SD=.68). The average value for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tendency was 1.92 (SD=.47), leading to factors such as tolerance to be 2.43 (SD=.47), virtual world orientation 2.05 (SD=.83), withdrawal 1.72 (SD=.62), and difficulty of performing daily activities 1.63 (SD=.58). Fourt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facto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especially in regards to reasonable guidance and limit-setting.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parents' positive mediation and negligence. Fifth, the effects of major variables on each other were exam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effect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martphone overindulg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limit-sett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children's overindulgence tendency while negligence was ver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tendency. Sixth, examining the effects of smartphone on children's learning, it was found that parents expect their children to gain interes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via smartphon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aring attitude and smartphone usage patterns of the parents and the smartphone overindulgence tendency of children, and analyzing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smartphone on children's learning.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 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중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학습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똑같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유아들이 내놓는 결과가 부정적 영향인 과몰입과 긍정적 영향인 학습효과로 양분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3개의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2세~만6세 사이의 자녀를 둔 학부모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총 225부가 최종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해 신뢰도(Cronbach'α),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변인들의 관계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주간 사용일수는 1~2일이 81명(36%)으로 가장 많았다. 1일 평균 사용 시간은 90분 미만이 66명(29.3%), 1회 평균 사용시간은 20~40분 미만이 88명(39.1%)으로 나타났다.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목적으로는 동영상시청이 68.2%(187명)로 압도적 과반수를 차지했다.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규칙은 시간(39.7%)이 가장 높았고, 부모들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이유로 재미와 흥미(166명, 64.8%)를 첫손에 꼽았다. 둘째,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관련 특성 중 스마트폰 1일 평균 사용시간은 60~180분 미만이 45.8%(103명)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폰 주 사용기능은 SNS가 27.8%(143명), 정보검색이 27.4%(141명)로 나타났다.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수락 이유로는 자녀가 원해서(42.2%)와 부모의 여가시간 확보를 위해(33.8%)가 높게 나타났다. 자녀에게 주로 보여주는 콘텐츠는 만화영화(130명, 38.2%)로 가장 높았고, 자녀 동반 스마트폰 사용 빈도는 주 1~2회(48%)가 가장 많았다. 부모들은 유아발달에 적절한 콘텐츠가 부족(49.8%)하다고 느끼면서도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이 필요하다(60.4%)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에게 스마트폰이 필요한 이유로는 학습(38.8%)과 시대의 흐름(36.1%)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유아에게 스마트폰이 필요없는 이유로는 전자파로 인한 우려(31.5%)와 유해사이트접속(28.9%)을 첫손에 꼽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패턴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의 일반적 경향과 변인들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전체 평균 4.04(SD=.56)로 가장 높았고, 합리적지도는 평균 4.18(SD=.43)로 나타났다.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패턴 중 척도설문을 진행한 미디어중재는 부정적중재가 3.77(SD=.77)로 가장 높았고, 긍정적중재는 2.98(SD=.67), 방임은 1.77(SD=.68)이었다.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향성은 전체 평균 1.92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내성이 2.43(SD=.47), 가상세계지향성이 2.05(SD=.83), 금단이 1.72(SD=.62), 일상생활장애가 1.63(SD=.58)로 이어졌다. 넷째, 주요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Pearson 상관분석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하위요인 전체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합리적지도와 한계설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다. 또 부모의 미디어중재 중 긍정적 중재와 방임과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주요 변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계설정이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끼쳤고, 부모의 미디어중재 중 방임이 유아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유아의 스마트폰 학습효과를 정리한 결과 부모들은 자녀들이 스마트폰의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아이가 여러 학습에 흥미를 갖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이용패턴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며, 유아의 스마트폰 학습효과에 대한 부모들의 지각을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