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성사에서 실현되는 신앙인의 능동적 참여 : E. Schillebeeckx의 『혼인: 인간실재, 그리고 구원하는 신비』에 나타난 혼인성사의‘현세성’과 ‘합의’개념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혼인성사 , 스킬레벡스 , 현세성 , 합의 , 능동적 참여 , Sacramental matrimony , Schillebeeckx , Secularity , Consent , Actively participat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규성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4052
- UCI I804:11029-00000006405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은 ‘평신도는 성사에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한가?’ 라는 질문에 서 비롯되어 ‘능동적인 참여’가 성사론적으로 무엇인지 살펴보고, 실제로 그것 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밝혀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사 중에서도 혼인성사 안에서 실현되는 신앙인의 능동적 참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혼인성 사는 집전가가 혼인 당사자이며, 부부의 혼인 생활 자체가 성사이기에 능동적 참여의 가능성을 밝히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혼인성사에서 실현된 능동적 참여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논문 은 스킬레벡스의 『혼인: 인간 실재, 그리고 구원하는 신비』에 나타난 ‘현세 성’과 ‘합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현세성’ 개념을 통해 성사의 참여 공간이 하느님과 함께하는 모든 곳이라는 공간적 확장의 측면에 대해 알 아보았다. 그 다음 ‘합의’ 개념을 통해 부부는 이미 혼인 생활 안에서 성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보았다. 그리고 그동안 성사론적 주제 로 다뤄지지 않은 육체적 결합이나 부부 사랑 같은 세부 주제들에 주목함으로 써 혼인성사의 능동적인 참여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교 회법 중심의 혼인성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성사론적 논의로 전환을 시도함으 로써 삶의 성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초록/요약
‘Can a laity actively participate in a sacrament?’ This paper has a clear aim of thoroughly examining the meaning of ‘active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sacramental theory and to prove how it is made possible in real life. The sacramental matrimony is assign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aper due to the fact that the executors of sacramental matrimony are the marrying couple themselves as marital life is sacrament itself; thus, it serves as the ultimate example of ‘active participation’. The concepts of ‘secularity’ and ‘consent’ shown in E. Schillebeeckx’s 『Marriage』 are used as a tool to prove the possible active participation in marriage. First, the notion of ‘secularity’ is reflected to acknowledge that sacrament is present everywhere not only in church. Next, the perception of ‘consent’ supports the idea of married couple actively playing a part in sacrament. Especially focusing on unfamous sacramental theoretical subjects such as sexual intercourse and conjugal lov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active participation’. By converting the discussion of sacramental matrimony from canon law to sacrament theory, sacramental life can finally become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topic.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