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Welfare Service Use Frequency and Satisfaction Level on Welfare Attitud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복지지위론 중 복지수혜자의 복지지위 관점에서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을 대리하는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 가구용 조사 및 복지인식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회귀모형을 도출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영향을 파악하고,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 간 영향력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가 많거나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복지태도 구성요인인 정부사회정책 평가를 지지하고 보편적복지 확대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이용 만족도 중 이용 만족도가 복지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제변수 중 복지욕구를 대리하나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던 가구원수는 복지서비스 이용 횟수와 만족도에 반대되는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복합적인 복지욕구에 대응하는 복지서비스를 개발하고, 개발된 복지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공공복지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보편적복지와 복지예산 확대에 대한 지지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number of welfare services and the degree of utilization satisfaction that represent welfare service use experience from welfare status of welfare beneficiaries in welfare status theory affects welfare attitud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rive the regression model, using the survey data of the 5th (2010) furniture and welfare department of Korea's welfare panel, And the effect of the dependent variable was ascertained, and the position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number of times of using the welfare service is high and the degree of use satisfaction is higher, it is clear that it supports the government's social policy evaluation which is a constitutive factor of welfare attitude, and oppose the universal welfare expansion, and the number of times of welfare service us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use satisfaction greatly affected the welfare attitude. Second, the enemies of households who did not consider welfare desire of control variables as a substitute or many previous studies as variables, showed a correlation that is opposed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satisfaction of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developed welfare services to meet the complex needs of welfare, and by continuing to provide the developed welfare services and making efforts to raise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 supportive attitude toward universal welfare and welfare budget expansion while positively maintaining the evalu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