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의 댓글 현상을 통한 국어과 교육내용 재구성
Reconstructing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formed by Comment Sections of Webtoons
- 주제(키워드) 국어교육 , 읽기 활동 , 웹툰 , 댓글 , 댓글 현상 , 교과서 , 학습활동 , 재구성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주세형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993
- UCI I804:11029-00000006399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고는 웹툰의 댓글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댓글 활동에서 일어나는 읽기 현상에 주목하여 독자의 새로운 역할을 찾고, 이를 통해서 교과서 학습활동을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웹툰의 댓글에서는 독자의 선행 텍스트에 대한 읽기가 자발적인 활동의 형태로 드러났다는 점과, 이러한 댓글을 읽는 행위를 통해서 다른 독자들은 선행 텍스트의 읽기 활동에 대해 자기 점검을 한다는 점과, 웹툰의 댓글을 통해서 독자가 생산과정에까지 나아간다는 점에서 새로운 독자 역할 발견의 의의를 지닌다고 보았다. 따라서 웹툰의 댓글 현상을 국어 교과서 학습활동에 적용한다면 학습자들이 기존의 독자 역할에서 벗어나 새로운 독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자발적인 읽기 능력 신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본고는 국어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보았다. 웹툰의 댓글은 기존의 일반적인 댓글 형식과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나름의 형식적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웹툰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및 웹툰 전문 사이트의 종류가 다양하고, 각각의 사이트 별로 댓글의 형식적 특징 역시 서로 상이한 측면이 있다. 허나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식적 특징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대표성을 띤 하나의 사이트를 선정하여 웹툰의 댓글 현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댓글의 기본적인 속성부터 파악하여 댓글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문법이 무엇인지 알고자 한다. 제Ⅱ장은 환경에 따른 댓글의 현상 분석을 위해 마련되었다. 이 장에서는 우선 온라인 환경에서의 댓글을 살펴보고 웹툰 환경에서의 댓글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온라인 환경 역시 그 범위가 방대하므로 대표할만 한 범위를 설정한 후, 그 안에서 댓글이 지니는 형식적 특징과 형식적 특징에 따른 기능적 특징을 다루었다. 나아가 웹툰 환경에서의 댓글을 살펴보았는데, 웹툰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환경의 범주를 설정하는 과정을 먼저 수립하였다. 이후 웹툰 댓글에서의 형식적 특징과 이에 따른 기능적 특징을 다루었다. 이때 웹툰 댓글의 기능적 특징은 온라인 환경에서 살펴본 댓글의 기능적 특징과 구분되어야 한다. 제Ⅲ장은 제Ⅱ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웹툰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기술한 것이다. 그리고 제Ⅳ장은 제Ⅲ장에서 분석한 웹툰 댓글에서의 현상을 토대로 국어 교과서의 재구성 방안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제Ⅲ장에서는 웹툰의 댓글을 읽기 활동 측면에서 바라보고 하나의 현상으로 다루었다. 따라서 댓글은 웹툰의 내용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직접적 내용 관련’과 ‘간접적 내용 관련’으로 나누어 분류하는 작업부터 진행하였다. 직접적 내용 관련에서는 각각 ‘단순 감상형’, ‘독자 간 교류형’, ‘작가에의 요구형’으로, 간접적 내용 관련에서는 각각 ‘독자 간 교류형’, ‘작가에의 관심형’, ‘상품화 촉진 요구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따르면 웹툰의 독자는 선행 텍스트에 대한 읽기 활동을 자발적으로 진행하며, 다른 독자들의 댓글 읽기를 통해 자신의 읽기 활동을 점검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작가와의 관계에서도 단순 소비자로 머물지 않고, 생산과정에 참여하는 생산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제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댓글 현상을 활용하여 국어 교과서의 교육내용 재구성을 꾀하였다.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국어 교과서의 단원 구성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논의거리를 제공해 준다. 지나치게 긴 길이의 텍스트, 내용 이해에 매몰된 학습활동의 구성방식, 실제 학습자들의 언어 생활의 미반영 등의 주요 논의 대상이 되었다. 이를 Ⅲ장의 댓글 현상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교육내용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