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어 보조사의 강조 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hasis Function of Korean Assistant

초록/요약

이 연구는 한국어 보조사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강조 기능을 가지는 보조사와 그렇지 않는 보조사로 나누고자 한다. 그리고 강조의 기능을 가지는 보조사들이 언제 강조 기능을 하는지, 어느 경우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강조 기능을 하는 보조사들을 개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1장 서론을 포함하여 모두 4장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강조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하고 각 방법에 따라 확인되는 보조사들의 강조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이들 방법이 보조사의 강조 기능을 확인하는데 적당한지를 확인하고, 또한 이들 방법을 모든 보조사에 작용할 수 있을지를 고찰한다. 그 이후 보조사가 가지는 강조의 정의에 대해 본고의 견해를 밝힌다. 그 다음에 보조사 목록 전체를 대상으로 각각의 보조사가 강조 기능을 가지는지, 강조 기능을 가질 경우 어느 때에 강조 기능을 하는지를 고찰한다. 전반적으로 강조를 나타낼 수 있는 보조사와 그렇지 않는 보조사를 구분하고 보조사의 강조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강조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는 보조사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를 활용하여 보조사가 강조 기능을 가질 때의 결합 환경을 고찰한다. 그리고 말뭉치를 중심으로 강조의 보조사의 영향권을 살펴본다. 그 이후 기존 연구에서 각 보조사의 강조 기능에 대해 관심을 많이 둔 부분에 대해서도 본고의 견해를 제시한다. 또한 '그래', '그려'와 같이 강조 기능을 하면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들을 비교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이 글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aspects of Korean assistant and seeks to divide them into assistants with emphasis function and assistants without. And we examine when the assistants with the emphasis function utilize their emphasis function, and in which cases they represent different meanings. We also aim to individually consider the assistants who perform the emphasis function. This article consists of four chapters including a chapter of an abstract. Chapter 2 examines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emphasis propos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discuss the emphasis function of assistants who were identified by each method. We will make sure that these methods are appropriate for confirming the assistant's emphasis function and consider whether these methods can work for all assistants. Later on, this paper will reveal its viewpoint on the definition of the emphasis of the assistant. Then for the entire assistant list, we examine whether or not each assistant has an emphasis function and when they utilize the emphasis function if they do. Overall, we propose a method to distinguish assistants between those who can exhibit emphasis and those who cannot and to confirm the assistant's emphasis. In chapter 3, we look at individual assistants who are identified as having the emphasis function. To do this, we use the 21st sejong plan corpus in to examine what the associative environment is when the assistant has the emphasis function. Then, we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assistant of emphasis on corpus. Afterward, the viewpoint of this paper is proposed regarding the parts of much interest in relation to the emphasis function of each assistant in previous studies. Or we compare the assistants who display similar meanings while utilizing the emphasis function, such as, 'geurae', or, 'geuryeo'. In the last chapter, we conclude with a summary of the discussions in this articl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