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연구 : 오리게네스의 기도론과의 비교
A Study of Evagrius’ Prayer : A Comparison with Origenes’ Prayer
- 주제(키워드) 관상 기도 정신의 기도 순수기도 활동 중에 관상 중보기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심 종 혁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신학대학원 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932
- UCI I804:11029-00000006393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오리게네스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비교 연구를 통하여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신학적 원천을 밝히고 있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의 대표적인 기도 책인 오리게네스의 「기도」(Περὶ Εὐχῆς)와 에바그리우스의 「기도」(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이 연구는 두 작품의 연속성, 비연속성, 그리고 특이성을 비교하는 방법론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두 작품을 위 디오니시우스의 영적 진보의 삼 단계 곧, 정화, 조명, 그리고 완전에 따라 분석한 공시적(共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전승사비평을 통해 에바그리우스의 「기도」와 오리게네스의 「기도」,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과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밝히기 위해 통시적(通時的) 방법을 사용했다. 이 논문은 세 가지 목적을 달성했다. 첫째, 오리게네스 주의자로 알려진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는 오리게네스에게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라는 것을 밝혔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플로티노스의 「엔네아데스」, 그리고 동방 교부들의 작품들과 비교한 결과 에바그리우스의 「기도」가 유일하게 관상 기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를 통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강조한 관상 기도에 대한 쇄신을 모색해 보고, 미래에 관상 기도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단순히 하느님과 합일을 추구하는 신비체험에 머물지 않고, ‘또 다른 천사’가 되어 이웃을 돕는 중보기도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이다. 둘째,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는 관상 중의 활동을 지향한다. 마지막으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의 핵심은 하느님과의 만남이며, 이웃과의 만남이다. 따라서 에바그리우스의 관상 기도가 주는 교훈은 하느님을 만난 관상가는 반드시 이웃을 향해 사랑을 실천하는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그리스도교 관상 기도의 원천을 다루었기 때문에 관상 기도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귀중한 자원을 제공한다. 아울러 이 논문은 영성 신학에서 그리스도교 최초의 관상 기도의 성격을 규명했기 때문에 에바그리우스 이후에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에 나타난 관상 기도와 비교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이바지했다.
more초록/요약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veal the theological origins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n the theologies of prayer developed by Origenes(AD 185~254) and Evagrius(AD 345~399). It focuses on two texts, representative of the authors’ work on prayer, namely Origenes’ On Prayer (Περὶ Εὐχῆς) and Evagrius’ On Prayer (Περὶ Προσεὐχῆς). The study adopts a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compare the two core texts in terms of their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specificity. Taking a synchronic approach, it analyzes the texts according to Pseudo-Dionysius’ three stages of spiritual progress; that is, purification, illumination, and perfection. In addition, the dissertation adopts a diachronic approach. More specifically, it applies tradio-historical criticism to elucid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on the one hand, the On Prayer of Evagrius, and on the other, the On Prayer of Origenes, the Enneade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The thesis reveals three key points. First of all, although Evagrius’ On Prayer has been labelled as Origenist, this was the original work on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and unaffected by Origenes. Secondly, a further comparison of Evagrius’ On Prayer with the Enneads of Plotinus and the works of the Eastern Fathers, indicates that only the Evagrius text deals with Contemplative Prayer. Thirdly, through Evagrius’s On Prayer, this dissertation sought renewal of the Contemplative Prayer which was emphasiz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on how this prayer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Evagrius’ Contem plative Prayer is not merely a mystery experience seeking unity with God, but also has the character of intercessory prayer for helping neighbors as ‘another angel’. Secondly,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directed toward the activity in contemplation. Finally, the heart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meeting with God and meeting with neighbors. Therefore, the lesson of Evagrius' Contemplative Prayer is that the contemplator who has met God must be an activist who practices love toward his neighbors. The dissertation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ose interested in Contemplative Prayer, because it deals with the source of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t reveals and elucidates the nature and spirit of the first Christian Contemplative Prayer in spiritual theology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basis for comparison with the Contemplative Prayer that appear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after Evagrius’ work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