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추상적 이미지로부터의 키 컨셉의 도출

초록/요약

예술의 내재적 가치인 미적 경험은 인간 내부의 여러 갈등을 정화해주고 지각과 분별력, 상상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상호 공감과 이해를 배양시켜 준다. 과학적 방법론에 기댄 미적 경험의 전망은 현재 인공지능, 뇌과학, 사물인터넷, 증강현실, 빅데이터가 삶에 들어서는 속도와 현황을 볼 때 그 응용과 활용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추상미술의 미학적 분석은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 추상미술은 조형요소들만으로 자율적인 화면을 구성한 듯 보여, 매체 실험적이거나 자기지시성이 본질인 것처럼 여겨지기 쉽다. 추상적 이미지의 원상은 잘 파악되지 않으며, 인간의 감정이나 기억, 무의식 등을 자유롭고 비정형적인 선과 도형으로 표현한다. 굵은 선들이 캔버스에 흩어져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흐르듯이 떨어지는 물감에서 느껴지는 우연성은 인간의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듯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추상적 이미지로부터 키 컨셉을 도출하는 것이다. 최근 빅데이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융합해 분석하고 비즈니스 모델에 활용하려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추상적 이미지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는 Twitter 전 세계 이용자들의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추상적 이미지별 키 컨셉을 도출하였다. 추상적 이미지별 추출된 연관 단어를 통해 공통 출현한 연관단어의 빈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상적 이미지의 숨은 의미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제품 제조업, 마케팅 분야 등에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새로운 자아를 창조하는 감각산업으로 우리 삶에 녹아있는 추상적 이미지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