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생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긍정심리 , 성격강점 , 강점활용 , 학교생활적응 , Character Strengths , School Adjustment , Strengths us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한기백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866
- UCI I804:11029-000000063866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성격강점과 강점활용, 학교생활적응의 실태 및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이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강점활용, 학교생활적응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0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관계, 성적에 따라 성격강점과 강점활용, 학교생활적응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일부 성격강점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 강점활용,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의 성격강점은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에 예측력을 보였는데, 특히 시민의식, 감사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 대하여 정적 예측력을 보였다. 반면 창의성, 용감, 영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유의한 예측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격강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제한적으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사랑, 희망-학교생활적응, 지혜와 지식, 호기심, 용감, 열정, 사랑, 자기조절, 초월, 감사, 희망, 유머 – 교우관계에서만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성격강점과 강점활용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상세히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수업장면에서 성격강점과 강점활용을 적용할 필요성과 학생들이 강점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교 교육이 개선되어야 하는 점을 제안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use of character strengths on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324 6 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selected 308 data which were faithfull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 strengths, strengths use and school adjustment differed significantly by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grade. Some character strengths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the girls showed higher levels of perspective, kindness, love, citizenship, leadership,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humanity than the boys. Second, character strengths, strengths use and school-adjustm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Almost every character strengths predicted higher school-adjustment, except for creativity, bravery and religiousness. Thrid, strengths use showed partial moderating effect between strengths use and school-adjustment: love and hope – school-adjustment, wisdom and knowledge, curiosity, bravery, zest, love, self-regulation, transcendence, gratitude, hope, humor – relationship with friend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