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볼링 선수의 스포츠수행전략(TOPS 2)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formance Strategies(TOPS 2) on Bowling Performa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볼링 선수들의 심리기술훈련 인지 여부와 현장 적용 실태를 확인하고, 한국판 TOPS 2를 사용하여 볼링 선수들이 경기상황에서 활용하는 스포츠수행전략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심리기술의 중요성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볼링협회에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볼링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선정된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볼링 선수 4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되거나 불성실한 34부의 자료를 제외한 426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질문지와 한국판 스포츠수행전략검사 2(TOPS 2)를 사용하였고, 스포츠수행전략 요인의 감정조절, 부정적 생각, 주의산만은 역산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 목적에 따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test(사후검증),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수행전략 활용과 경기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소속,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경기력에 따른 심리 기술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경기력이 높을수록 심리기술훈련에 대한 인지 및 경험, 스포츠수행전략 사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수행전략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잣말과 감정조절, 자동적 수행, 부정적 생각이 경기력의 대회입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동적 수행과 부정적 생각이 경기력의 최근 대회점수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