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기초점화가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자기초점화가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자기초점화, 우울, 행복, 인지적 정서조절, 자기수용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초점화와 우울 및 행복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우울 및 행복이 유지되고 심화되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1일부터 10월 2일에 걸쳐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23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도구는 자기초점화 척도, 우울척도, 행복척도,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방법으로는 부트스트랩 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초점화는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가지고, 행복, 자기수용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둘째, 자기초점화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초점화가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이르는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기초점화가 높을수록 인지적 정서조절이나 자기수용은 감소하였으며 인지적 정서조절이나 자기수용이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초점화와 우울, 행복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이 부분적으로 매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자기초점화 성향의 사람들이 우울이 늘어나고 행복감이 줄어드는 데 이르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인지적 정서조절과 자기수용의 방법들을 적용하여 우울을 낮추고 행복을 높혀 그들의 안녕을 도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자기초점화, 우울, 행복, 자기수용, 인지적 정서조절

more

초록/요약

Influence of self-focused attention on depression and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Yang hu ye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depression, happin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and tried to examine the process of maintaining and intensifying depression and happines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depression, and happines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237 adults over 19 from September 11, 2018 to October 02, 2018, with the scales of self-focused attention, depression, happi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used boost trap metho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focused atten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lso, self-focused atten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self-acceptanc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econdly,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self-focused atten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Third, this study identified how self-focused attention lead to depression throug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When the person had higher self-focused attention, the person’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son had high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r self-acceptance, the person showed less depression. By clarify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and happiness,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ed course for how people with self-focus tendency have higher depression and lower happiness. The result suggests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elf-acceptance on people needing psychotherapy for alleviating depression, enhancing happiness, and promoting their internal peace. Key Words : Self-Focused attention, Depression, Happines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