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플립러닝을 활용한 설화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안 연구

How to teach folktale: a study of storytell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초록/요약

본고는 설화의 구전성과 이에 비롯된 가변성에 주목하여 설화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논의에서 현재의 설화 교육이 설화의 교육적 가치 및 의의를 모두 담아내기 어렵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며 플립러닝 모형과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화는 구전성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이본들이 존재하고, 현재에도 다양한 갈래들로 변환되어 끊임없이 재창작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설화를 바라봄에 있어 고정된 텍스트가 아닌 가변성을 지닌 텍스트라는 것을 인지하고, 사회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갈래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학습자들은 자신이 직접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 활동을 함으로써 스스로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설화의 특성을 내면화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창의융합적 사고를 발산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성에 주목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설화를 교수 학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보았다. 특히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 역량 중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과 문화 향유 역량에 주목하여 교육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Ⅱ장에서는 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도구로 플립러닝과 스토리텔링에 대해 살펴보았고, 각각의 교육적 효과 및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이와 같은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설화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편의를 위해 <바리데기> 설화를 대상 텍스트로 하여 교육 방안을 고안하였으며, 플립러닝과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중학교 3학년 대상의 총 4차시의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후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통해 실제적인 수업 양상을 제시하였으며, 차시별로 지도상의 유의점도 함께 논하였다. 1차시는 설화의 특성과 다양한 갈래들의 특성을 학생들이 학습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1차시 수업 이후 학생들은 플립러닝을 통해 이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2차시에서는 앞서 진행한 학습 활동을 바탕으로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을 진행하는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 활동 결과물들을 통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완성도를 가진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지 확인해보았다. 3차시에서는 모둠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서로의 플립러닝 감상을 공유하고,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 활동 결과물들을 동료 평가한다. 4차시에 대표 텍스트를 학습함으로써 작품을 다양하게 바라보며 비판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논의를 마무리하며 플립러닝을 활용한 설화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의를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설화를 교육함에 있어서 기존의 수업 방식에서의 부족함을 찾을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플립러닝과 갈래 변환 스토리텔링이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 방안 설계를 통해 구체적인 활용 가능성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 목표로 하는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설화의 특성을 내면화하고, 작품을 수용함에 있어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 교육은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창의적인 사고 함양과 의미 있는 성장을 위한 것임을 강조하는 바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has purpose on presenting a concrete education measure, focusing on oral tradition of folktale and its variability. In existing discussion, current education has limits on including both value and meaning of folktale. Bringing up this problem, this study present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flipped-learning model and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activities. Folktale has different versions based on nature of oral tradition. It keeps converting into various genreand recreating. Therefore, learner can recognize that folktale is not fixed text but variable text. Also, learner can realize that folktale is a genre that interacts constantly with society. Participating in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by themselves, learners can be subject of creation.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nature of folktale. Furthermore, they can express creative fusion thinking. This study is forming basis of teaching-learning on folktale, based on connection with 2015 amend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this study has purpose on devise education method focusing on critical-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ultural enjoyment ability which is presented as the point ability in the 2015 amendment. According to these idea, the study in chapter Ⅱ looks into flipped-learning model and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as method to learn the abilities. And the study shows it educational efficiency and meaning. Chapter Ⅲ presents concrete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discussions. The education method was devised using <Baridegi> as object text for convenience. And four periods of classmodel for 3rd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 was designed, applying flipped-learning and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After that, there are presentation of practical aspect of class using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nd the study contains discussion on notes in teaching student by each period. The 1st period of classmodel emphasize on learning characteristics of folktale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 After 1st period of classmodel, there is process for internalizing these characteristics through flipped-learning. In 2nd period of classmodel, genre-conversions storytelling proceeds based on previous activities. There are confirmation about which level of completion can be achieved in practical education site by 3rd grade student. In 3rd period of class students share there impression on flipped-learning through group activity. And the result of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is valuated by group members. In 4th period, students grow their critical thinking through various views on representative texts. Finishing the discussion, the study summarize the educational meaning of folktale storytelling through flipped-learning. The study shows the limits of existing education when teaching folktale. And flipped-learning and genre-conversion storytelling can be meaningful educational alternatives. By designing education method, there was possibility of concrete usage. The goal of study is to make learners internalize characteristics of folktale, become more critical on consuming texts and take independent attitude. And these literature education is ultimately for learners to have creative thinking and meaningful developme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