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부적∙내부적 CSR의 상호작용 효과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외부적 CSR , 내부적 CSR , 조직몰입 , 이직의도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external CSR , internal CSR , organizational commitment , turnover intention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장영균
- 발행년도 2019
- 학위수여년월 2019. 2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753
- UCI I804:11029-00000006375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지속가능경영과 투명하고 정직한 기업문화를 추구하는 추세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초반에는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측면의 거시적(Macro) 관점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이후 종업원의 영향 측면의 미시적(Micro) 관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CSR에 대한 개념의 모호성과 단순성 및 측정방법의 한계에 따라 CSR을 이해관계자별로 분리해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또한, 종업원의 경우 CSR의 수혜자인 동시에 CSR을 수행하는 실행 주체로서 역할이 구분되고, 다른 관점을 지니고 있을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R을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로 구분하여 CSR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하고, 둘째, 종업원의 인식으로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을 측정하고, 종업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시적 CSR에서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 직무태도에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하고,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적으로 통계분석에서 총 245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은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의 상호작용에서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모두 높은 경우에 둘다 낮은 경우보다 조직몰입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외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낮고,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높은 경우에 외부적 CSR에 대 한 종업원의 인식이 높고, 내부적 CSR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낮은 경우보다 조직몰입이 높고, 이직의도가 낮은 것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는 CSR 개념의 명확화를 시도하였고, 내부적 CSR, 종업원의 인식 및 종업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목하였으며,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CSR을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로 나누어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CSR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이라는 것, 그리고 실무적으로 기업이 외부적 CSR과 내부적 CSR 어느 한 곳에 투자하기 보다는 균형적으로 투자해야 함을 확인하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more초록/요약
In line with the trend of promoting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transparent corporate culture, many studi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The first of such studies typically took a macroscopic perspective by examining companies’ financial performance, but over time studies have increasingly taken a more microscopic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influence that CSR has on employees. However, due to the vagueness and simplicity of the CSR concept and the difficulty in measuring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erspective that looks at CSR separately for each stakeholder. Also, corporate employees are both beneficiaries of and agents implementing CSR activities, so some studies must exclusively focus on employe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it classifies CSR activities as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to better define its core concepts. Second, it measured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from the employee perspective and then empirically studied the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and how they influenced employees’ attitudes.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re then offered for both academia and business. To this end, a precedent study was conducted o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to study CSR at a microscopic leve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determine employees’ attitudes about their jobs. A hypothesis was then proffered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o test the hypothesis, 245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influenced their attitudes about their jobs.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also affected their attitudes about their jobs. I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rd, in the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when both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ere high,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er than when both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are low. However, when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was low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as high, it was not significant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higher and turnover intention is lower than when employees’ perception of external CSR was high and employees’ perception of internal CSR was low.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what CSR is; focused on internal CSR, employee perception and its effects; and generated implications for academia and busin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 on South Korean companies. Moreover, it provided the critical insight that it is important to study CSR in terms of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separately; that CSR influences employees’ attitudes about their jobs; and that companies should invest in both external CSR and internal CSR rather than one or the other alon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