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 연애와 진정성 : 연애 각본과 젠더를 중심으로

Romantic relationships and authenticity: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dating scripts and gender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생들의 연애를 ‘진정성’이라는 현대 사회의 문화적 화두를 고려하여 분석한다. 연애는 대학 입시를 위해 공부에만 집중하도록 요구 받는 청소년기를 보낸 한국의 대학생들이 크게 관심을 가지게 되는 주제이며, 이성 교제는 청년기의 발달 과업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낭만적 사랑은 후기 근대의 불확실성과 함께 더욱 강조되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그 신화적 힘을 잃었다. 한편, 주체로서 자기 자신을 찾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진정성에서 애정 관계는 여전히 한 개인이 자기 자신을 인정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장소로 제시된다. 따라서 진정성과 함께 상반되는 낭만적 사랑의 두 가지 경향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낭만적 사랑의 경향에 있어서 연애 상대방이 자아 인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를 ‘사랑의 낭만화’로, 연애 상대방에게 정체성 승인을 위한 권력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를‘사랑의 합리화’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틀을 기반으로 18명의 대학생과 진행한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여 소비 문화의 연애 각본과 낭만적 사랑이 전제해 온 성 역할이 어떤 방식으로 대학생들의 연애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또한 진정성은 대학생들의 연애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 문화에 있어서 대학생들의 연애는 일상의 변화로 이어졌다. 연애 대상과 함께 다양한 데이트 코스와 이른바 ‘맛집’을 발견하는 일은 대학생 연애에서 공통적이다. 이 과정에서 여학생의 경우 평소 자신의 소비 방식을 ‘함께’ 할 수 있는 누군가가 생기는 것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자신이 소비하지 않던 새로운 경험들을 즐기게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애에 있어서 서로의 자유를 일정 부분 내어주고 서로를 통제하는 양상은 소비문화가 제시하는 연애 각본에 따라 로맨틱한 장소와 분위기를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나아가 이벤트와 기념일 챙기기는 상대방의 마음의 크기를 가늠하는 방식으로 사랑의 낭만화 측면에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대중 매체, SNS및 친구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랑의 합리화에 기반하여 계산되기도 하였다. 둘째, 성과 젠더의 문제에 있어서 대학생들은 남녀 모두 ‘외로움’을 연애의 이유로 제시하였으나 대학생들은 연애를 할 수 있는 능력 자체를 자신의 가치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낭만적 사랑이 전제하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 역할을 따르지 않아도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줄 연애를 바라기도 하였다. 이는 전통적인 낭만적 사랑의 신화를 따르지는 않지만, 연애 상대방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자기 자신을 인정 받고자 하는 진정성과 사랑의 낭만화 경향을 내포하는 것이다. 한편, 연애 대상의 선택과 성 경험에 관련해서는 남성과 여성이 가진 성 역할의 불평등을 반영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성 대학생들의 경우 주체로서 성 경험을 재해석하고 연애 관계와 자신의 신체 및 마음을 관리하고자 시도한다. 셋째, 진정성 차원에서 연애 과정의 갈등과 이별은 대학생들로 하여금 상처와 함께 자신의 연애를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선, 갈등과 이별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대학생들은 갈등을 관리하는 방법을 마련하지만, 헤어짐에 대한 두려움은 갈등 자체를 회피하게 만들기도 한다. 더불어 갈등과 이별 과정에서 장기적 연애 관계와 제도로서 결혼과 가정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려해 보게 된다. 많은 경우 이별 이후의 연애 전략 수정은 연애 상대방으로부터 인정 받길 바라는 사랑의 낭만화에서 상대방에게 권력을 주지 않고 자신의 욕구와 감정에 우위를 두는 사랑의 합리화로 변화하지만, 여러 번의 연애 경험은 연애 자체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성찰하게 한다. 끝으로 관계 맺기와 상대방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별을 포함한 연애 과정 전체를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스스로의 성장으로 재해석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연애를 현대 사회의 문화적 화두인 진정성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 드러나는 낭만적 사랑의 두 양상의 긴장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nvestigates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 in consideration of authenticity. Intimate love relationship is a developmental task of youth, and becomes Korean college student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topics because they spend majority of their youth in rigorous preparation for college. In modern society, however, romantic love is not only emphasized along with the uncertainty of late modernity in modern society, but it has also lost its mythical beauty.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authenticity that establishes self-identity as the subject, intimate love relationship is still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with which an individual could be recognized as a valuable self. This study uses two types of analytical framework: 1) Authenticity and 2) Aspects of Romantic Love. Regarding aspects of romantic love, there is two opposite sides which are romantification of love and rationalization of love. Romantification of Love considers the dating partner as an important other for a valuable recognition of oneself, while rationalization of Love considers that the dating partner does not recognize oneself as valuable. The method of study is an in-depth interview of 18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in romantic relationship more than twice. With these analytical frameworks,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how dating script, which has evolved to be based on consumer culture, and gender role of romantic love influences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 patterns. This study also aims to show how authenticity is implied in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s. The conten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ating scripts changed college students’ daily lives. For women, changing daily life means that there would be someone with whom they could consume things that she usually did or wanted, while for men, it means that they would consume things as new experience. Also, keeping exclusive love style, which limits freedom of each other, follows the dating script of consumer culture which limits whether some kinds of experience is romantic or not. Giving gifts and celebrating anniversary shows ways to know how they love each other in terms of romantification of love, but some students also shows that it could b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what other couples do in terms of rationalization of love. Secondly, in regards with gender issue, both men and women thought loneliness is the reason for being in a relationship and making girlfriend or boyfriend itself could be standards for recognizing the valuable self. Also, interviews showed that there was desire to meet someone who can accept them even if they would not follow the gender role of romantic love. These are not in accordance with myth or romantic love but they still show that romantification of love is the way to be accepted as one’s true self. In contrast, dating partner’s attraction and sexual experience reflected traditional unequal gender relationship, even though female students tried to reflect on women’s sexuality and reinterpret their experiences. Third, in view of authenticity, disputes and breaking up made college students reflect their relationships. They learned how to manage conflicts and changed their relationship strategy after breaking up which made them distrust the myths of romantic love. In many cases, college students changed their strategy from romantification of love to rationalization of love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avoid being hurt. Also, college students considered their future marriage and family related with myth of romantic love going through the conflicts and separation. Conclusively, they interpreted their romantic relationship as an exploration and growth of ‘self’ by reflecting on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on how they grew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love partner. This study analyzes how authenticity works in colleg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by focusing on dating script and gender rol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romantic relationship in terms of authenticity in modern culture and society, and it considers the growing tension between two opposite aspects of romantic lov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