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지역주민 , 지역사회참여 , 몰입 , 심리적 안녕감 , 사회적 관계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문진영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577
- UCI I804:11029-00000006357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지역사회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지역사회참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지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2018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30일 간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에 앞서 설문조사의 취지와 응답방법, 설문응답결과에 대한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중구 지역 내에서 지역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였고 지역 행사장, 활동 장소등을 방문하여 다니며 무선표집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성별, 연령, 학력, 건강상태, 경제상태와 같은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항목과 지역사회참여유형, 참여기간과 같은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항목, 지역사회참여 몰입, 사회적 관계망,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전체 325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설문지는 267부, 이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51부를 제외한 총 216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 검증은 유의수준 p<.05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참여 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참여 몰입은 사회적 관계망에도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은 지역주민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사회적 관계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각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개발 관계망과 사회참여 관계망 모두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역주민의 지역사회참여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사회적 관계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적 측면에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참여의 활성화를 위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강화시키고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노력과 정책 및 제도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실천적 정책적 노력을 통하여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고, 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체가 세워진다면 지역주민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