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질문과 응답에 관한 연구: "Don't know" 응답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허위 이슈 , 필터링 효과 , '모르겠다' 응답 , 서베이 실험 , 여론조사 , Fictitious issue , Filtering effect , ‘Don’t know’ response , Survey experiment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현우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499
- UCI I804:11029-00000006349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이 증가함에 따라 조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끊임없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수단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져왔을 뿐, 어떻게 하면 응답자들의 진실된 응답을 도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허위 이슈(fictitious issue)’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거짓 응답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리서치에서 실시한 ‘한국리서치 정기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서베이 실험(survey experiment)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설문조사 방식의 경우, 설문항에서 묻는 내용에 대해 잘 모름에도 불구하고 응답하는 응답자가 결과값 내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들은 본인들이 잘 모르는 질문이더라도, 본인이 지니고 있는 정치적 정향을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질문에 대한 응답자의 의견을 묻기에 앞서 해당 질문에 대한‘인지여부 확인 과정’을 거친 조사 방식의 경우, 질문에 대해 모름에도 불구하고 의견을 피력하는 거짓된 응답을 걸러냄으로써 보다 나은 수준의 여론조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요약
With growing distrust in opinion polls, a large literature has suggested the way to increase reliability in the poll’s results with the method of conducting polls. However, most prier studies have focused rarely on the way to elicit genuine responses from respon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reduce false responses from respondents in survey data with a survey experiment. In the survey experiment design, there are two groups; control group is directly asked respondent’s opinion on issues (Type A); the treatment group is asked whether the respondents know about issues or not, before asking their opinion on issues (Type B). The results reveal that respon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likely to answer the questions based on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even if they did not know about them. However, the respondents in the treatment group, identifying respondent’s cognitions on issues, help reduce false responses in survey dat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