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cultural values reflected in Chinese and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2007 vs 2017
- 주제(키워드) cultural values , cultural dimensions , Chinese magazine advertisements ,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 crossvergence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윤각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488
- UCI I804:11029-000000063488
- 본문언어 영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values as reflected in Chinese and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of 2007 and 2017, aiming to investigate what cultural values are different between Chinese and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n the culture dimensions suggested by Hofstede and Hall from 2007 to 2017. We employed a content analysis, using a coding scheme including 44 items and 1117 samples collected both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findings indicate that majority of the coding item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both in 2007 and 2017. But compared with the results in 2007, the differences tend to be much smaller in 2017. In particular, collectivism, emotional appeal, new technology application and high context appear more often in Chinese magazine advertisements, in contrast, individualism, short term orientation, uncertainty avoidance, high power distance, low context and harmony are more frequently reflected in Korean magazine advertisements.
more초록/요약
현재 날로 강해지고 있는 세계화 및 가속화된 경제 일체화로 인해 나라 간의 문화교류도 빈번하게 진행하고 있다. 중국과 한국은 같은 동양권에 소속되지만, 세계화되어 있는 현재 중국인과 한국인의 문화 가치관이 서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또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2007년과 2017년의 잡지광고를 대상으로 광고에 반영된 문화 가치관에 대해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중한 양국은 2007년도 2017년도 문화 가치관에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집단주의, 감성 소구, 첨단기술의 활용과 고 맥락 등 중국 잡지광고에 많이 나온 것으로 나타난다는 반면에 개인주의, 단기지향성, 높은 불확실 회피성, 큰 관력 거리, 저 맥락 그리고 하모니가 한국 잡지광고에서 많이 찾을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거시적으로 보면 양국 잡지광고에 반영된 문화 가치관은 각자 특성이 있지만,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양국 문화 가치관의 차이가 10년을 거쳐 점차 줄어들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