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시기 한국 언론의 문화대혁명 인식
Korea media during the Cold War recogni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 주제(키워드) 문화대혁명 , 냉전 , 한국 언론 , 반공의식 , 홍위병 , 리영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전인갑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447
- UCI I804:11029-00000006344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일어났던 큰 사건중의 하나로서, 전 세계가 주목했던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대혁명의 진행과 결과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졌고, 이 문화대혁명과 중국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장밋빛 희망이 보인다고 생각한 사람이 있었던 반면, 문화대혁명은 중국공산당 내부의 잔인한 권력투쟁이며, 중국의 공산당정권은 곧 파멸을 맞이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렇다면 당대 한국인들은 문화대혁명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바라보고 있었을까? 한국은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후 미국과 소련의 냉전체제의 개막과 함께 남과 북에 각각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정권과 공산주의 정권을 세웠다. 그 결과 6.25전쟁을 통해 동족상잔의 내전을 겪었고, 분단된 두 정부는 통일되지 못하였다. 그 후 남북의 두 정권이 휴전선을 맞대고 대치하는 상황이 만들어졌으며 두 정권은 서로의 체제를 비난하였다. 문화대혁명 당시 남한(이하 한국)에는 반공(反共)을 국시로 한 군부독재정부가 들어서 있었으며 언론을 통제하였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중국을 중공(中共)이라고 불렀으며 반공의식에 기초한 문화대혁명 인식이 뿌리내릴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신문사들은 중국의 문화대혁명에 반공의식이 강력히 담긴 기사들을 써내려갔으며 한국에서의 문화대혁명은 홍위병의 난동과 함께 중국 공산당 내부의 권력투쟁 그리고 외교와 경제의 파탄을 가져온 중국정부의 실책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군부독재정권이 반공을 국시로 했다고 해서 무조건 반공의식이 담긴 문화대혁명 인식이 있었다고만 할 수는 없다.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당대 저명한 지식인이자 언론인이었던 리영희이다. 그는 반공의식이 선입관이므로 이를 버리고 중국의 근현대사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아야 문화대혁명을 이해할 수 있다고 자신의 저서인 『전환시대의 논리』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선입감을 버리고 중국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반공의식이라는 선입관에 익숙한 한국인들과 다르게 문화대혁명을 보려는 시각이었다고 할 수 있었으며, 선입관을 버린 신선한 해석은 일부사람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모택동의 사망으로 문화대혁명이 종결되고 등소평(鄧小平)에 의해 1981년 「건국 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에서 문화대혁명이 ‘십년대란(十年大亂)’으로 평가되면서 개혁개방정책이 진행되었고 이는 리영희의 인식이 힘을 잃게 되었음을 의미하였다. 결국 그는 자신의 인식이 잘못되었음을 일부 시인하였다. 결국 반공의식에 기초하였던 문화대혁명 인식이 살아남게 되었고 현대 한국사회에도 영향을 미쳐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홍위병’은 현재도 한국사회에서 타인의 정치성향을 비난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옛 소련이나 중국공산당의 내부문서가 공개되면서 중국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진척되고 있는 상황이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논문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문화대혁명에 대한 당대 한국인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연구가 적고 연구해야할 분야도 많다. 본고는 반공의식을 기초로 한 문화대혁명 인식이 성립하게 된 계기에 대해서 중점을 잡고 서술하였기에 상대적으로 문화대혁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던 것 같다. 당대 한국인의 문화대혁명 인식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진다면 냉전체제 하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정서에 대한 내용이 많이 밝혀져서 당대인들의 생각과 의식에 침투하여 당대 한국역사연구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이것이 문화대혁명에 자체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한국인의 문화대혁명 인식을 연구하는 것 또한 중점을 가지고 연구해야 하는 까닭이다.
more초록/요약
The Cultural Revolution is one of the great events that has occurred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omething that the world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While many people were interested in the progr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outco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some people thought that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the future of China would see a silver lining, while the Cultural Revolution was So, what was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mong Koreans at the time?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from Japan, it established democratic and communist regimes in the South and the North, with the opening of the Cold War regim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a result, the two divided governments failed to unify, as they experienced fratricidal civil war through the Korean War. Then it was created that the two governments of the two Koreas confronted each other on the border, and the two governments criticized each other's system. At th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South Korea had a military dictatorship under the name of anti-Communism, and because of the control of the media, China had to be called a " communist revolution. " Therefore, Korean newspapers wrote articles with strong anti-Communism sentiment in 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and the Cultural Revolution brought about power struggles with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collapse of the government and the economy. However, just because the Korean military dictatorship was under communism, it can not be said that there was a sense of the Cultural Revolution. Lee Young-hee, a prominent intellectual and journalist of the time, represents Lee. He wrote in his book " The Logic of the Transition Period " that he should abandon the anti-Communist sentiment and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hina's modern histor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understand the Cultural Revolution. This was a view of the Cultural Revolution unlike Koreans who were accustomed to the concept of anti-Communism, and fresh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attracted some people. However, with the death of Mao Zedong, the Cultural Revolution was ended and the Cultural Revolution was lost in 1981 under the meaning of the party's determination on some historical issues since its founding. In the end, he partly admitted that he was wrong. The awaren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was based on the anti-Communist sentiment, came to life, and the " red soldier, " who led the Cultural Revolution by influencing modern Korean society, is still used in Korean society as a term to criticize other people's political tendencies. The study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under way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as internal documents of the former Soviet Union o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ere disclosed, and various papers are being published in Korea. However, research into the awaren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mong Koreans at the time is still limited and there are many areas to be studied. The book focuses on the basis of anti-Communist sentiment and describes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If the research on the awaren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of the present generation of Koreans becomes more active, it will be more helpful to the study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by penetrating the minds and feelings of Koreans under the Cold War regime. This is why while research into the Cultural Revolution itself is important, studying the percept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 should also focus on i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