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제주도 본풀이의 세계관과 에토스 연구

A Study of the World-View and Ethos in Jeju Bonpuri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제주도의 민속 신앙에 관련된 구술 서사 자료(oral narratives)를 바탕으로 협의의(종교적ㆍ윤리적 문화만을 다룬다는 점에서) 민족지 기술을 시도한 문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제주도 민속 문화에 아주 밀접한 영향을 끼친 무속 신앙과 그것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일반신본풀이ㆍ당신본풀이ㆍ조상신본풀이를 주요한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 담화에서 나타나는 전승 집단의 세계관과 에토스를 추론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세계관’(World-View)과 에토스(Ethos)는 미국의 인류학자 클리퍼드 기어츠(C. Geertz)가 제시한 문화 체계로서의 종교 담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이며, 이들 요소가 어떠한 맥락에서 어떤 모습으로 구성되고 활성화되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문화를 기호(sign)적 관점에서 바라본 기어츠와 인간 및 사고 자체를 기호로 규정했던 미국의 기호학자 퍼스(C. S. Peirce)의 이론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민족지적(ethnographic) 문화 연구를 지향하면서도 구술 서사 자료의 의미 및 맥락에 대한 연구를 수반하고 있으므로 크게 세 단계의 절차를 통하여 분석과 기술이 이루어졌다. 2장에서는 본풀이 담화가 전승 집단에게 수용될 수 있는, 곧 ‘설득’을 획득하게 되는 담화 구조의 특징 및 메시지가 지향하는 해석소(interpretant)를 규명하기 위하여, 담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반복적이고 공통적인 행위들을 중심으로 각 장르별 본풀이의 지배적인 맥락을 찾았다. 이를 통하여 장르별 본풀이의 서사적 특수성을 찾아냄과 동시에 그러한 특수성을 생성해 내는데 협력하는 언술들의 기능을 밝혔다. 담화의 이러한 결속 구조는 전통 수사학의 설득적 요소 세 가지를 각각 취하게 되는데, 일반신본풀이는 기원과 신적 존재의 정당성을 정교화하고 논리화하는 ‘로고스’적 담화를, 당신본풀이는 발화자로서의 신, 즉 캐릭터 자체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는 ‘에토스’적 담화를, 조상신본풀이는 수신자의 심리와 정서에 집중하는 ‘파토스’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각 장르별 본풀이는 담화 자체가 지향하는 어떤 해석소(interpretant)를 생성하게 되는데, 일반신본풀이는 시간적 선후 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앞선 것의 우위를 강조하는 ‘논증’(argument) 기호를, 당신본풀이는 대상 자체의 존재 또는 인식만을 강조하는 ‘단어’(term/rhema) 기호를, 조상신본풀이는 대상에 대한 정보 확장을 위해 이것과 저것이 관계를 맺듯이 주어와 술어가 결합하는 ‘명제’(proposition/decisign) 기호를 창출한다. 기호(sign)가 그 자신의 해석소와 맺는 관계에 따라 분류되는 이 개념들은 퍼스 기호학에서 다른 기호적 분류들과 계열체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3장에서 다룰 세계관의 성격들을 예고하고 암시한다. 3장에서는 담화 속 인물들의 관계들을 통하여 각 장르별 본풀이의 세계관을 추론한다. 인물들인 맺는 관계는 이야기의 진행 동력이자 인물들이 활동하는 배경으로서의 세계 그 자체이기 때문에, 이야기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특정한 ‘관계’들은 세계에 대한 상(象)을 나타낸다. 주로 부각되는 관계들은 신직을 주고받는 증여 관계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들은 퍼스 기호학의 보편 사고 범주로서의 ‘일차성’(firstness)ㆍ‘이차성’(secondness)ㆍ‘삼차성’(thirdness)의 속성 및 ‘도상’(icon) 기호ㆍ‘지표’(index) 기호ㆍ‘상징’(symbol) 기호의 속성을 공유하는데, 이를 통하여 담화에서 부각되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밝혔다. 일반신본풀이에서 천상신과 일반신, 어머니와 아들의 맹목적이고도 절대적인 법칙과 같은 관계적 속성은 퍼스의 ‘삼차성’ 및 기호의 ‘자의성’과 ‘법칙성’을 공유한다. 그리고 기원을 알 수 없는 과거의 시원적 공간을 우주 질서에 의하여 이미 ‘정해진(given) 세계’로 표상함으로써, 그 과거의 영향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는 영구성을 드러낸다. 당신본풀이에서 당신과 단골, 부부 관계에서 드러나는 정체 확인에 대한 경향과 제도적 관습성은 퍼스의 ‘일차성’ 및 기호의 ‘인식성’과 ‘관습성’을 공유한다. 그리고 담화에서 현행적으로 나타나는 인물들의 문화적 코드는 ‘인식된(recongized) 세계’를 표상함과 동시에 현재가 과거라는 전통을 통하여 유지되고 강화되는 시간적 양상을 보인다. 조상신본풀이에서 조상과 후손이 맺는 경험적 공간에서의 우연적이면서 인과적인 관계는 퍼스의 ‘이차성’ 및 기호의 ‘실존성’과 ‘확장성’을 공유한다. 그리고 혈연이든 비혈연이든 조상신과 후손의 상호 관계는 통시적ㆍ공시적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후손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처럼, 조상신 또한 후손들의 필요에 따라 새롭게 창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상신본풀이 담화는 ‘확장하는(expanding) 세계’를 표상하면서, 그들의 미래적 관계를 현재의 실존적 관계를 통하여 강화하는 시간적 양상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각 장르별 본풀이에서 부각되는 증여 관계들은 보상과 처벌이 뚜렷한 인과응보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권선징악의 세계가 아니라, 서로 증여함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어떤 상태, 즉 형평성(fairness)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4장에서는 제주도 본풀이의 윤리적ㆍ미적 가치, 즉 에토스로서 지향되는 형평성이 본풀이 담화에서 장르별로 그 의미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형평성이 제주도 무속 담론의 맥락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속 담론을 넘어 실제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실천되는지를 보이고자 했다. 형평성은 ‘균형’(balance)를 뜻한다. 또한 불균형의 상태를 고르게 조율한다는 뜻에서 ‘조화’(harmony)의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여기서 조화는 옳은 것, 아름다운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담화에서 형평성은 인간 행위에 대한 신의 심판으로서 윤리적 ‘정의’와 복(福) 혹은 몫을 고르게 주는 경제적 ‘균형’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신과 인간이 서로 제의와 복을 주고받는 ‘호혜의 평등’으로 나타나거나 산 자가 약자로서의 죽은 자를 위로하고 돌보는 ‘나눔’을 통하여 균형을 회복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본풀이의 구연 맥락인 제주도굿에서도 형평성의 의미는 다양한 제차(祭次)들을 통하여 본풀이 담화에서와 같이 상응하여 나타난다. 그리고 본풀이의 ‘정해진 세계-인식된 세계-확장하는 세계’의 모습은 인간의 사회화ㆍ문화화의 통시적 과정을 은유하므로 결국 신화적 공간을 시간화하는데, 굿은 신화적 사건의 시간을 굿의 현장으로 공간화하기 때문에 이로써 제주도 무속 담론은 체계의 형평성까지 이루게 된다. 한편 본풀이는 담화 내적 불균형의 상태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장인물들이 기도나 제의, 즉 ‘굿’을 수행하는 이야기들을 다양한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그러한 의미에서 굿은 형평성을 이루기 위한 인간의 신에 대한 증여 행위이다. 따라서 ‘-에 대한 모델’로서의 본풀이, 즉 세계관(World-View)은 ‘-을 위한 모델’로서의 굿을 지속적으로 지시함으로써 증여 행위 및 습관으로서의 실천인 굿을 양산하고 에토스로서의 형평성을 지향하는 무속 담론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본풀이의 세계관과 에토스가 공통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공동체의 삶, 즉 인간이 숙명적으로 마주하는 ‘관계적’ 환경은 필연적으로 공동체주의와 형평성을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게 되는데, 이는 제주도의 사회문화에서 공동체의 공동 생산과 공동 분배 및 약자에 대한 배려 행위를 지향하는 하나의 미덕으로 나타나고 있다. 곧 형평성은 재화를 순환시키는 증여를 통하여 이룰 수 있는 이상적 상태이자 공존을 위한 집단의 가치이다. 제주의 역사와 사회 문화에서 특히 강조되는 형평성은 제주도의 자연적ㆍ역사적 배경에 바탕한 다른 문화적 특징들인 연대 의식, 자조(自助), 합리적 실용주의와 관련 있으며, 그림자로서 그들의 불평등 의식과 계급주의의 또 다른 얼굴이기도 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research attempts an ethnographical cultural approach based on the oral narratives in relation to folk religions. In a narrow sense, it only deals with religious and ethical culture. The objects of this paper, therefore, are shamanism which is very tangential in understanding Jeju folk culture, and Bonpuri as its framework; that is, the myth of general god(ilbansin bonpuri), the myth of village guardian(dangsin bonpuri), the myth of ancestor’s spirit(josangsin bonpuri). My purpose is to delineate a World-View of a group of transmission and their Ethos through these discourses. In this paper, I use the terms such as a “World-View” and “Ethos” in reference to an anthropologist Clifford Geertz’s discussion on the important aspects of constituting the discourse of religion as a cultural system. I also employ a semiotician C.S. Peirce’s theoretical methodology to illustrate the ways in which these aspects are constructed and enabled in what contexts. Whereas my study pursues ethnographical cultural approaches it simultaneously involves with the oral narratives’ signification and contextualization. For this purpose, it consists of three sections; in chapter two, in order to illustrate “interpretants” whose discursive features of the structures and the messages transmitted into groups through “persuasion,” I attempt to understand dominant contexts of each genre’s bonpuri on the basis of characters’ repetitive and commonly shared behaviors appearing in the discourse. By doing so, I not only demonstrate the distinctives of narrative in each genre’s bonpuri but the functions of the statements which collaborate with producing such particularities. The discursive coherence has three factors of persuasions used in Aristotle’s traditional rhetoric; one, the myth of general god(ilbansin bonpuri) is characterized as logos that logically refines the justification of the god’s presence; two, the myth of village guardian(dangsin bonpuri), as a god of speaker, has ethos-like features which highlight the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per se. Three, the myth of ancestor’s spirit(josangsin bonpuri) aims the discourse of pathos focusing on the psychology and emotion of receivers. In addition, each bonpuri creates a certain interpretants and each characteristic is as following; the myth of general god(ilbansin bonpuri) emphasizes the argument which prioritizes precedents in the relation of temporality; the myth of village guardian(dangsin bonpuri) generates signs underscoring the presence of its object or recognition; the myth of ancestors’ spirit(josangsin bonpuri) engenders a proposition sign through the engage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that.” These concepts I discussed so far imply the characteristics of World-Views which connect paradigmatically with other classification of signs in terms of Pierce’s semiotics. I will deal with this in chapter three. In chapter three, I aim to infer the World-View of each genre’s bonpuri through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are not only a motivation of the narrative but the world itself as a background where all the characters are activated. Hence, these distinctive relationships featuring in the narratives reflect the image of the world. What is to note is that the relationships are presented as a form of “give and take.” The relationships share the properties of signs which are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and icon, index, symbol as a general category of Pierce’s semiotics. Throughout the shared properties, I prove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particularly presented in the discourses. Within the myth of general god(ilbansin bonpuri), the relational property such as an unconditional relationship like that of between supreme god and general god, mother and son shares with Pierce’s third-ness and sign’s arbitrariness and law-ness. By representing the origin-less space of the past as a “given” world based on the cosmic order, the myth of general god(ilbansin bonpuri) exposes the permanency that the impact of the pas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The myth of village guardian(dangsin bonpuri) shares Pierce’s firstness, recognition and convention of sign in that it tend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village guardian, regulars, and conjugal relations, and also shows institutional conventions. While the cultural codes currently appeared in the discourses represent a “recognized” world, such discourses show temporality, which is maintained and reinforced through the tradition equalizing the present with the past. The myth of ancestors’ spirit(josangsin bonpuri) exhibits Pierce’s second-ness and the existentiality and expandability of signs through the coincidental and causal relations within the empirical spaces having a relationship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Regardless of their kinship,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ancestors and descendants expands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In addition, the discourse of the myth of ancestors’ spirit(josangsin bonpuri) signifies a “expanding” world as ancestors and descendants are mutually generated, and thus it shows temporal features reinforced through the present existences for their those of the future. Consequently, each bonpuri accentuates the retributive justice whose reward and punishment are very evident. However, it implies “fairness” through a certain form of “give and take” rather than simply didacticism. In chapter four, I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significations of the “fairness” are differently are revealed in the discourses of each bonpuri, and it is embodied in the discourse of the Jeju shamanic myth(bonpuri). Furthermore, I move forward to the extent to arguing how it is perform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Jeju Island beyond its shamanic features. “Fairness” implicates “balance.” It is a precondition of harmony in that it coordinates unbalanced evenly, and such harmony can be a standard to judge ethics and aesthetics. In the discourses, fairness is revealed as ethical justice or fortune, economic equality, reciprocal relationship through rituals between the god and human, or restoration of its balance through “sharing” that the living consoles the dead. In the context of Jeju shamanic ritual(gut), fairness appears as the same form in the discourse of bonpuri as well. The given/recognized/expanded world are, therefore, metaphors of the diachronic processes such as human socialization and enculturation. In other words, whereas the World-View of the bonpuri temporalizes mythical spaces, gut spatializes the temporality of the mythical incidents. In this milieu, the discourse of Jeju shamanism embodies fairness of the system of Jeju shamanism. Meanwhile, bonpuri consistently expresses the narratives of characters’ prays or performing rituals(gut) in order to overcome the discursively internal imbalance. In this point, gut is an enactment of “giving” to gods for the sake of the fairness. While the narrative of bonpuri is “models of” and World-View, the World-View, as “models for,” generates gut as a habitual practice. In this way, the World-View of bonpuri strengthens the Shamanic discourses pursuing fairness as Ethos. The World-View and Ethos presuppose human community’s lives and their “relational” circumstances. Hence, the transmission groups of bonpuri inevitably prioritize community spirits and fairness as significant aspects of bonpuri.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Jeju island, the fairness, striving for community’s coproduction, distribution, and care for the socially marginalized, is considered as a virtue. That is, it is a collective value for co-existence and idealized state through the “giving,” which circulates goods. Along with Jeju island’s na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fairness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features such as solidarity, self-reliance, and practicality. And ironically the fairness, as Ethos of people in Jeju island, is an another aspect presenting their consciousness of inequality and class stratifi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