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 주제(키워드) 인지적 정서조절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 심리적 안녕감 , 사회적지지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석혜원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417
- UCI I804:11029-000000063417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지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42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t-검정,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지지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은 전반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사회적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사회적지지와도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두 번째로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지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고, 심리적 안녕감의 경우 총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심리적으로 더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지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사회적지지원과의 관계에서 만족감을 얻고있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하위 요인으로는 친구지지에서 여학생의 만족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교사지지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태에서 행복을 측정하는 지표인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초기 청소년기 청소년의 경우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의 경우, 교사지지가 적절히 개입된다면, 낮은 인지적 정서조절능력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보완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is is a research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lso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Second, after check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s, in c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ups. In addition, in case of social suppots, girls’level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all social supports level and the level of friends’ support.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check for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its sub–factors. Consequently, teachers’ support controll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se are significances of this research. First, this has meaning in a theoretical aspect. Even though everyone is seeking happines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dolescents' happiness. Considering th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adolescents' happiness on the basis of measuring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indicator to measure happiness is regarded as accurate research on theoretical aspect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more adolescents us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higher they can ge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hen adolescents us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ss, teachers’ support can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complement the negative effect of low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