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교조직문화, 일 관련 반추와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교조직문화와 일 관련 반추의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교조직문화가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일 관련 반추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소재의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7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여 학교조직문화의 하위요인별로 네 차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문화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혁신문화와 집단문화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이,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는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 관련 반추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정서적 반추 및 미분리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정적 영향이, 문제해결숙고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일 관련 반추의 조절효과를 확인해 본 결과, 혁신문화와 집단문화가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칠 때 문제해결숙고가 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숙고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혁신문화와 집단문화의 영향이 감소되었다. 그 이외의 경우에는 조절 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학교조직문화의 형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통한 교사의 심리적 건강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도 논의에 포함되었다.

more

초록/요약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work-related rumination an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he study also examined moderating effects of the work-related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For this study, a self-report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secondary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unggi-do. Using the data from 376 respondents, fou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for each sub-factor of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he result indicated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and rational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Second, work-related rumin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he result indicated affective rumination and non-detach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and problem-solving ponder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hird,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of work-related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problem-solving pondering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cultur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as well as between group cultur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The higher problem-solving pondering, the less likely it is that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had an effect on burnout of teachers. Otherwise,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mplication of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desirabl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psychological health of teachers from work-life balance were discuss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s well as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included in the discuss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