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학생인권조례 정책집행과정 분석
Analysis of execution of policy on Gyeonggido’s ordinance of student rights
- 주제(키워드) 경기도 학생인권조례 , 정책집행 , 학생인권보장 , 교육정책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김재웅
- 발행년도 2018
- 학위수여년월 2018.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교육대학원 교육공학-교육행정융합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63414
- UCI I804:11029-00000006341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보호를 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경기도 학생인권조례 정책집행 실태를 살펴보고, 갈등과 쟁점들을 분석하여 현재 경기도 학생인권조례 정책집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정책집행과정 모형을 검토하여 경기도 학생인권조례에 맞는 정책집행 분석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하여 교육정책 및 학생인권조례에 관련된 서적, 학술지, 공청회 자료, 신문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뷰를 위해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대상을 선정하고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경기도 교육청 공무원, 교사, 학생의 인식 및 태도 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생인권조례의 목표는 추상적·선언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자원의 지원도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학생인권조례는 교육감의 지시와 통제 하에 경기도 교육청 관료들이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집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쟁점이 되는 사항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교육부와 교육청 등 집행기관들은 조정과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들은 학생인권보장의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지만, 학생인권보장을 위한 방법과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정치적으로는 이념적인 갈등과 찬반 대립의 갈등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언론은 이러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기도 학생인권조례 정책집행과정을 분석하여 쟁점이 되는 사항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정책집행을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execution of policy on Gyeonggido’s ordinance of student rights by analyzing conflicts and controversial issues.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policy execution model to determine and analyze policy execution model which is suitable for Gyeonggido’s ordinance of student right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books, academic journals, public hearing data and news articles relating to educational policy and ordinance of student rights by examining documentary records.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by snowball sampling for an interview and investigated public officers’working at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s ordinance of student rights. This study found that clearer understanding of ordinance of student rights is needed as its goals are expressed in an abstract and declarative manner and a support for means and resources to achieve goals is also needed.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ers working at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ctively participated in enacting ordinance of student rights under the direction and control of superintendent but they were passive about problems and controversial issues occurring during execution. Relevant authorities such as Ministry of Education and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need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consider safeguard for student rights necessary but they lack methods and awareness of safeguard for student rights. Ideological conflicts in terms of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continue, which media show such conflic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new perspective for successful execution of policy by analyzing execution of policy on Gyeonggido’s ordinance of student rights and identifying controversial issu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