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금연동기가 금연성공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증·고도 흡연자를 대상으로 금연동기와 금연성공 여부와의 관계는 정서조절방략(접근적 방략, 주의분산적 방략, 지지추구적 방략, 부적응적 방략) 사용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금연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A시에 소재한 지역금연지원센터 전문치료형 금연캠프 수료자 3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시행된 질문지에 성실히 응답하지 않은 111명을 제외한 최종 2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6개월 금연성공 여부에 따라 금연성공군(174명)과 금연실패군(91명)으로 나누어 통계 분석하였다. 6개월 금연성공 여부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평균 차이, 빈도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집단 t검증과 카이제곱검증(Pearson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금연동기, 접근적 방략, 주의분산적 방략, 지지추구적 방략, 부적응적 방략이 성, 나이, 교육, 일일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흡연 관련 병력, 정신과 병력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6개월 금연성공 여부에 미치는 고유효과가 유의한 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 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금연동기가 6개월 금연성공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에서 잠정적인 조절변인으로 상정된 정서조절방략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 로지스틱분석을 수행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연성공군과 실패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니코틴 의존도로 나타났으며, 금연실패군에 속한 참가자들이 보고한 니코틴 의존도의 수준은 금연성공군에 속한 참가자들이 보고한 니코틴 의존도의 수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개월 금연성공 여부는 흡연 관련 병력 및 정신과 병력 둘 다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관련 병력이 있으면 금연성공이 더 높았으며, 정신과 병력이 없으면 금연성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이 높은 흡연자가 연령이 낮은 흡연자보다 6개월 금연성공률이 높았고, 교육 수준이 높은 군이 금연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전문치료형 금연캠프 수료자 중 6개월 금연성공자 그룹의 금연성공과 관련된 예측변인으로 금연동기가 유의하게 예측되지 않아, 금연동기가 금연성공과 관련된 요인이라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는 본 연구 참가자의 금연성공군과 금연실패군이 이미 금연을 시도하는데 높은 동기수준이기 때문에 6개월 금연성공 예측 요인으로 변별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금연성공에 대해 금연동기와 접근적 정서조절방략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접근적 방략의 수준이 높아질수록(저수준에서 고수준으로 갈수록), 금연동기가 6개월 금연성공 확률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한편, 6개월 금연성공과 금연동기 간의 관계에서 다른 정서조절방략들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Objectives :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serious and heavy smoker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motional regulation method (approaching strategy, distractive strategy, support seeking strategy, maladaptive strategy) on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and smoking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data for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376 people who completed the specialized treatment-type smoking cessation camp provided by loc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at A city from January 2016 to October 2017. This study selected 256 people who faithfull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people who succeeded (174) or failed (91) on quitting smoking. To identify the averag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nd frequency differences based on quitting smoking for 6 months, this study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This study also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Analysis to examine whether natural effectives of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approaching strategy, distractive strategy, support seeking strategy, maladaptive strategy are still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s of gender, age, education, daily smoking amount, nicotine dependency, smoking-related medical history, and psychiatric clinic history. Furthermore, regarding the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this study attempted o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s the potential moderating variable. For ver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Analys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Results : First, the nicotine dependency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ho succeeded or failed in smoking cessation. The degree of nicotine dependency reported by the subjects in failur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nicotine dependency than the subjects in successful group. Also,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had significant relation with smoking-related medical history and psychiatric clinic history. The subjects with smoking-related medical history were more successful in quitting smoking and subjects without psychiatric clinic history had higher smoking cessation rate. Second, subjects with higher age or advanced education level demonstrated higher smoking cessation ratio for 6 months. This survey result corresponds to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Third, regarding the groups who succeeded in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the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were not predicted among other predicting variables. While the preceding studies reported that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is the factor related to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the survey result showed the different result. This happened because subjects in success groups and failure groups already had high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before the survey. Thus, the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had no distinctive effect on predicting factors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Fourth, regarding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and approaching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e higher level of approaching strategy (from low level to higher level) resulted in higher influence of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On contr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and smoking cessation motivation, oth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ole counselor for smoking cessation and key factor of psychotherapy are to add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at are effective to serious and heavy smokers on program for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Especially, the approaching strategy had effective result as the moderating variable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us, ‘active thinkig’, ‘cognitive acceptance’, ‘problem-solving behavior’, and ‘emotional acceptance’ should be used to moderate the emotion and to promote the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more